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5℃
  • 맑음강릉 19.4℃
  • 박무서울 15.7℃
  • 맑음대전 22.4℃
  • 맑음대구 22.6℃
  • 맑음울산 23.4℃
  • 맑음광주 22.9℃
  • 맑음부산 20.4℃
  • 맑음고창 21.1℃
  • 맑음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3.6℃
  • 맑음보은 21.7℃
  • 맑음금산 23.4℃
  • 맑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5.0℃
  • 맑음거제 19.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문성혁 해수부 장관, 저수온 대응·김 가공 생산 현장 점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1월 19일(화) 오후 충남지역을 방문해 저수온 대응 현장과 김 수출 가공 시설을 점검한다.

 

  먼저, 문 장관은  천수만 가두리 양식장을 찾아 저수온 현장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충남도로부터 상습재해지역의 양식장을 수심이 깊은 해역으로 이설하는 ‘중층가두리 시범사업’ 추진현황을 보고받을 계획이다.

 

  천수만은 대표적인 저수심 내만으로, `18년도에 저수온으로 숭어, 우럭 등 양식생물 약 54만 마리가 폐사한 바 있다. 올해 역대급 한파로 지난 8일에 천수만에 저수온 경보가 발령되었으나 아직까지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문 장관은 저수온 피해 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는 양식어업인과 지자체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저수온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늦추지 말고 대응에 만전을 기해 달라.”라고 당부할 예정이다.

 

  이어, 문 장관은 보령시에 있는 김 수출 가공업체인 갓바위식품(주)을 방문하여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한 김 업계의 노고를 치하하고 업계 애로사항도 청취할 예정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은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서도 23억 2천만 달러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특히 김은 단일 품목으로서는 최고액인 6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함으로써 수출효자 품목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김산업법’ 제정을 통해 김 산업의 성장기반을 마련하고, 북미와 EU 등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수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문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정부는 수산물 수출 유망기업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판로 확대 등을 통해 우리 수산물 수출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힐 예정이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농촌진흥청, 국내 개발 풀사료 신품종 설명회 개최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4월 16일 본원 전시 재배지에서 국내 개발 목초·사료작물 품종 설명회를 개최한다.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종자 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이번 설명회에서는 국내 개발 풀사료 품종을 소개하고 주요 특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안정 생산 재배 기술교육, 향후 풀사료 산업 발전을 위한 육종 방향 및 종자 보급 확대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소개될 품종은 총 3종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신품종 ‘오아시스’, 알팔파 신품종 ‘알파킹’, 톨페스큐 ‘그린마스터 4호’이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사료가치와 가축의 기호성이 뛰어난 풀사료이다. 현재 국내 풀사료 재배면적의 약 66%, 겨울철 풀사료 재배면적의 약 84%를 차지하며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2023년에 개발한 신품종 ‘오아시스’는 수확시기가 빠른 조생 품종으로 수입 품종(‘플로리다80’)과 비교해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고, 생산성이 9% 높다. 또한, 사료가치가 우수해 국산 품종의 자급률을 높이고 수입 품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풀사료의 여왕’으로 불리는 알팔파는 사료가치가 높아 축산농가에서 선호하는 풀사료지만,

식품

더보기
“집에서 즐기는 진한 가쓰오부시의 맛” 하림, ‘더미식 메밀소바’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은 일본 현지 전문점에서 맛볼 수 있는 별미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더미식(The미식) 메밀소바’를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더미식 초계국수’에 이은 냉면류 제품으로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정통 일식 메밀소바를 즐길 수 있도록 구현해 낸 상온 밀키트 간편식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면요리인 메밀소바는 메밀가루를 주재료로 만든 면으로, 내놓는 방식이나 먹는 방식에 따라 자루소바, 모리소바, 카케소바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일본식 가쓰오부시 장국인 쯔유 국물을 활용해 다양한 레시피로 활용된다. 하림은 분말이나 소스로는 흉내 낼 수 없는 감칠맛 나는 쯔유 국물을 구현하기 위해 간장에 가쓰오부시, 황태 등을 넣고 10시간 이상 정성껏 푹 끓여 일본식 쯔유를 직접 만들었다. 여기에 무와 양파, 파 등으로 단맛을 더해 남다른 풍미와 감칠맛을 자랑한다. 면은 정성껏 끓인 육수로 반죽하고 볶은 메밀가루를 함유한 건면으로, 하림만의 제면기술과 배합비율을 적용했다. 그리고 기름에 튀기지 않고 건조하는 제트노즐 공법을 통해 탱글한 탄력과 소스가 잘 베는 고품질의 메밀면을 완성했다. 제트노즐 공법은 면을 단시간에 평균 130℃의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