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20년 우리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코로나19에도 선방했다!

전체 물동량 감소(중량기준 8.9%↓)에도 컨테이너 물동량은 0.5% 감소에 그쳐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4억 9,735만 톤으로, 전년(16억 4,397만톤) 대비 8.9%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1분기) 3.2%↓, (2분기) 11.8%↓, (3분기) 11.9%↓, (4분기) 8.7%↓

 

 - 수출입 물동량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정책으로 인한 발전용 유연탄 수입량 감소,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EU·미국 등의 소비 부진에 따른 원자재 및 소비재 교역량 감소 등으로 전년(14억 2,915만톤) 대비 10.8% 크게 감소한 총 12억 7,456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1분기) 5.4%↓, (2분기) 14.3%↓, (3분기) 13.8%↓, (4분기) 9.7%↓

 

 - 컨테이너 물동량(TEU 기준)은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4월부터  감소 추세였으나, 9월 이후 미주지역 수요 반등에 따른 물동량 회복과 미주․동남아 항로 임시선박 투입 등 수출화물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증가 추세로 전환되면서 전년(2,923만TEU) 대비 0.5% 감소한 2,908만 TEU를 기록하였다.

 

 - 연안 물동량의 경우 인천지역 모래 채취허가 재개(2019. 10.)로 모래 물동량이 전년보다 크게 증가(168.3%↑)함에 따라, 전년(2억 1,482만톤) 대비 3.7% 증가한 총 2억 2,279만 톤을 처리하였다.

 

 - 한편, 2020년 12월 항만물동량은 총 1억 2,781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4,869만 톤) 대비 14.0% 감소하였고, 그 중 수출입 물동량은 총 1억 803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860만 톤) 대비 16.0% 감소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020년) ]

 최근 15년간(2006∼2020) 전년 대비 물동량 추이를 보면, 2008년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 침체로 2009년 물동량이 감소(5.5%↓)한 이후 물동량 자체가 감소한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금년에는 일정 부분 물동량 회복이 예상되나, 이는 전년도 큰 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될 경우 큰 폭의 회복세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항만별(물동량 기준)로 보면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이 전년 대비 각각 12.4%, 11.8%, 7.1%, 3.6% 감소하는 등 대부분의 항만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기록하였다.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020년) ]

《 컨테이너 화물 》

 

 2020년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환적 물량의 증가에 힘입어 전체적으로는 전년 대비 0.5% 감소한 2,908만 TEU를 기록하였다.

    * (1분기) 1.2%↑, (2분기) 4.3%↓, (3분기) 1.1%↓, (4분기) 2.4%↑

 

  수출입은 전년(1,674만 TEU) 대비 1.9% 감소한 1,642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이 829만 TEU(1.0%↓), 수입이 813만 TEU(2.8%↓)로 수입 물동량의 감소 폭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1분기) 0.4%↑, (2분기) 6.2%↓, (3분기) 1.7%↓, (4분기) 0.01%↑

 

   - 상대적으로 수출물동량의 감소세가 적은 것은 일본(11.1%↓), 베트남(2.1%↓) 등 국가로의 수출감소에도 불구하고, 대(對)중․대(對)미 수출이 크게 늘어(각각 7.3%↑, 5.3%↑) 이러한 감소세를 상쇄시킨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환적은 전년(1,228만TEU) 대비 1.6% 증가한 1,248만 TEU를 기록하여 우리 항만의 경쟁력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1분기) 2.5%↑, (2분기) 1.7%↓, (3분기) 0.3%↓, (4분기) 5.8%↑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물동량(2020년) ]

 

 - 한편, 전년 대비 적(積) 컨테이너 처리 실적과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각각 0.5%씩 동일하게 소폭 감소하였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으로 세계경제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난해 위축되었던 물동량도 같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미-중 갈등 심화 가능성 등 경기하강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다.

 

   *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성장률을 ‘20년에 4.4%↓, 21년에는 5.2%↑로 전망(’20.11, KDI)

  ** 부산항의 경우, ‘20년 대비 3.3% 증가한 2,250만TEU로 전망됨(‘20.12, 부산항만공사)

 

 부산항은 전년(2,199만 TEU) 대비 0.8% 감소한 2,181만 TEU를 기록하였다.

 

   * (1분기) 3.2%↑, (2분기) 5.2%↓, (3분기) 3.5%↓, (4분기) 2.4%↑

  ** (’20.10) 190만 TEU(1.2%↑), (‘20.11) 193만 TEU(5.9%↑), (’20.12) 187만 TEU(0.2%↑)

 

 - 수출입은 전년(1,035만 TEU) 대비 감소(5.4%↓)한 980만 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제1의 교역국인 대(對)중국 물동량 증가(4.8%↑)에도 불구하고 다른 주요 교역국들의 물동량 감소(미국 2.1%↓,일본9.6%↓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1분기) 0.9%↑, (2분기) 11.2%↓, (3분기) 8.3%↓, (4분기) 2.6%↓

   ** (’20.10) 84만 TEU(2.6%↓), (‘20.11) 85만 TEU(1.0%↓), (’20.12) 84만 TEU(4.1%↓)

 

   - 그러나, 3분기 이후 수출 증가에 따라 물동량 감소세가 점차 줄면서 코로나19의 영향에서 점차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북미항로는 3분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 최근 3개월간 북미항로 수출현황 : (‘20.10) 91천 TEU(24.4%↑), (’20.11) 90천 TEU(18.6%↑), (‘20.12) 80천 TEU(14.9%↑)

 

  환적은 전년(1,164만 TEU) 대비 3.2% 증가한 1,201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주요 교역상대국들에 대한 환적물량 증가(중국 9.4%↑, 캐나다 4.5%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1분기) 5.2%↑, (2분기) 0.1%↑, (3분기) 0.8%↑, (4분기) 6.7%↑

   ** (’20.10) 107만 TEU(4.3%↑), (‘20.11) 108만 TEU(12.1%↑), (’20.12) 103만 TEU(4.0%↑)

 

   -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영향은 환적부문에도 나타나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대폭 축소(5.2%→0.1%)되었으나, 3분기부터 증가율이 반등하는 추세를 보였다.

 

 인천항은 전년(309만 TEU) 대비 5.6% 증가한 326만 TEU를 기록해 인천항 개장 이후, 역대 최대수준을 기록하였다.

 

    * (1분기) 1.5%↓, (2분기) 4.6%↑, (3분기) 11.6%↑, (4분기) 7.2%↑

   ** (’20.10) 28만 TEU(8.0%↑), (‘20.11) 30만 TEU(9.4%↑), (’20.12) 28만 TEU(4.2%↑)

 

 - 수출입은 전년(305만 TEU) 대비 4.5% 증가한 319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연초 신규항로(중국․베트남) 개설효과가 지속(중국 194만 TEU(4.1%↑), 베트남 35만 TEU(6.4%↑))된 것으로 분석된다.

 

 - 환적도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환적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3.3만TEU) 대비 101.8% 증가한 6.7만 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전년(238만 TEU) 대비 9.4% 감소한 216만 TEU를 기록하였다.

 

    * (1분기) 9.8%↓, (2분기) 13.1%↓, (3분기) 4.9%↓, (4분기) 9.3%↓

   ** (’20.10) 17만 TEU(13.0%↓), (‘20.11) 18만 TEU(4.3%↓), (’20.12) 17만 TEU(10.6%↓)

 

 - 수출입은 전년(180만 TEU)대비 0.7% 감소한 179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증가(중국 12.7%↑,베트남 11.5%↑)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역 국가들(미국 9.9%↓,일본 19.9%↓등)의 물동량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환적은 전년(58만 TEU) 대비 36.3% 감소한 37만 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그동안 최대 환적물량(약 20만 TEU)을 차지하던 머스크사의 중남미항로 폐지(‘19.11~) 및 HMM의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 가입(’20.4)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중동노선이 폐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세계 10대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2020년 11월 기준 누적 총 물동량은 2억 3,400만 TEU로 전년 동기대비 0.9% 증가하였다. 

 

 - 이는 중국 항만 물동량 증가*로 인해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물동량 누적 감소분이 어느 정도 회복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중국 제조업 성장세(경기동향지수인 구매자관리지수가 9개월 연속 확장추세임)와 11월 기준 수출량도 전년 동월대비 15% 증가하는 등 물동량도 증가 추세임

 

  11월 기준 누적 물동량은 상하이항이 3,986만 TEU(전년 동기 대비0.4%↓)로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싱가포르항(3,361만 TEU, 1.1%↓), 닝보-저우산항(2,648만 TEU, 3.4%↑), 선전항(2,397만 TEU, 1.6%↑), 광저우항(2,112만 TEU, 1.4%↑), 칭다오항(2,001만 TEU, 4.0%↑)이 2~6위를 기록하였다.

 

   - 부산항(1,991만 TEU, 1.1%↓)은 세계 7위(전년동기6위)를 기록하였고, 텐진항(1,710만 TEU, 6.1%↑)이 그 뒤를 이었다.

 

 - 2021년에는 전 세계 물동량이 전년 대비 6.6% 증가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Drewry)되며,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컨테이너 물동량도 전년 대비 6.5% 증가할 것으로 전망(‘21.1, KMI)되나,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기조 변화, 백신공급 지연에 따른 인적교류 제약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 국내 최대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은 글로벌 물동량의 흐름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이에 적극 대응하고자 주요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 등과의 비대면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온라인을 통한 네트워크**를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기존) 선사에 방문하여 대면 면담 → (변화) 화상회의, 웹세미나, 온라인 컨설팅 등

  ** (구성) 항만당국 - 터미널 운영사 - 선사(글로벌본사 및 한국지사) - 해외 항만당국(역할) 터미널 운영 동향(물동량 서비스 등), 정기 ‘컨’ 노선 현황, 통계 등 상시공유

 

《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0년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9억 9,794만 톤으로 전년(10억 6,889만 톤) 대비 6.6% 감소하였고, 광양항 등 대부분의 항만에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 (1분기) 0.5%↑, (2분기) 8.3%↓, (3분기) 9.2%↓, (4분기) 9.3%↓

 

[ 전국 무역항 비컨테이너 물동량(2020년) ]

 - 광양항은 약 60%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관련 물동량(석유정제품, 화공생산품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제철 수요 부진으로 관련 물동량(철광석, 유연탄, 철강제품 등)이 감소하여 전년(2억 6,171만 톤) 대비 8.6% 감소한 2억 3,916만 톤을 기록하였다.

 

 - 울산항은 휘발유 등 유류제품의 수요 부진 등으로 관련 물동량이 감소하고 해외 자동차공장 가동 중단 등의 원인으로 차량용 부품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년(1억 9,497만 톤) 대비 7.0% 감소한 1억 8,130만 톤을 기록하였다.

 

 - 인천항은 정제 마진 하락에 따른 석유정제품 물량 감소와 친환경정책에 따른 유연탄 발전량 축소로 관련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1억 304만 톤) 대비 1.4% 감소한 1억 156만 톤을 기록하였다.

 

 - 평택·당진항은 철광석 물동량 감소와 유류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1억 215만 톤) 대비 7.1% 감소한 9,485만 톤을 기록하였다.

 

 - 대산항은 석유제품 수요 감소로 유류 물동량이 감소하고 유연탄 수입량도 감소하여 전년(9,207만 톤) 대비 9.7% 감소한 8,315만 톤을 기록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광석, 유연탄, 자동차가 각각 5.1%, 6.1%, 13.5% 12.2% 감소하였다.

 

 - 유류는 석유제품의 국내소비(화학제품, 도로운송, 제조업 등) 감소 및 수출 물동량 감소에 따른 원유 수입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4억 7,335만 톤) 대비 5.1% 감소한 4억 4,915만 톤을 기록하였다.

 

 - 광석은 중국 수출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철강제품의 수출 및 내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호주, 브라질 등에서의 수입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1억 4,224만 톤) 대비 6.1% 감소한 1억 3,355만 톤을 기록하였다.

 

 - 유연탄은 화력발전소가 있는 인천항, 태안항, 대산항, 하동항, 삼천포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고, 철강제품 및 시멘트 생산 감소에 따른 수입 물동량(원료탄)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1억 3,860만 톤) 대비 13.5% 감소한 1억 1,994만 톤을 기록하였다.

 

 - 자동차는 주요 수출지역(미국, 유럽, 중동 등)의 코로나19 재확산 및 수요 위축 등의 영향으로 전년(7,887만 톤) 대비 12.2% 감소한 6,928만 톤을 기록하였다. 

 

 임영훈 해양수산부 항만운영과장은 “지난해 중량 기준 수출입 물동량은 10% 이상 크게 감소했으나,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 세계적인 교역 위축에도 환적화물 증가로 0.5% 감소에 그쳤으며, 4분기부터는 증가세로 반전되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존재한다.”라며, “향후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현재 진행되고 있는 터미널 운영사 간 합병을 적극 지원하고 환적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항만공사와 협의해 물동량 유치 목적으로 시행중인 인센티브 제도를 조정하는 한편, 보다 많은 신규항로를 유치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참고) 보도자료에 수록된 수치는 원시데이터를 만 단위(TEU는 천 단위)로 조정한 수치이고 증감률은 원시데이터 간 비교하여 적용한 수치입니다.

   다만, 통계 재생성(분기, 반기 등) 시 일부 수치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농업

더보기
지구를 살리는 슬기로운 생활! 유기농데이 20주년, 친환경 농산물이 우리 곁에!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6월 5일(목) 세종시 싱싱장터(도담점)에서 「2025년 유기농데이 기념식」을 개최하고, 6월 한 달간 대대적인 소비촉진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유기농데이(6월 2일[유기])는 친환경 농업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친환경 농산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번 기념식은 ‘지구를 지켜온 20년, 커져라 친환경’이라는 슬로건 아래 한국친환경농업협회와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 주최로 진행되었다. 기념식에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농업인들이 직접 생산한 친환경 농산물을 선보이고 판매하는 ‘파머스마켓’이 열렸으며,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친환경 체험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온 가족이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이 되었다. 현재, 전국 각지에서 유기농데이 기념 주간을 맞아 6월 한 달간 대대적인 소비촉진 행사가 펼쳐지고 있다. 농협 하나로마트, 이마트, 롯데마트 등 주요 대형마트와 현대백화점, 올가홀푸드, 한살림, 두레생협 등 친환경 전문 판매점에서 특별 판매전이 진행되어 친환경 농산물을 더욱 쉽게 만날 수 있다. 아울러, 대학생들에게 ‘천원의 아침밥’과 점심(중식)을 유기농 쌀로 제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우로 채우는 육육(肉)데이” 한우자조금, ‘한우 상생위크’ 일환 온‧오프라인 한우 할인행사 진행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6월 6일 ‘육육(肉)데이’를 맞아 쿠팡, 믿음한우, SSG닷컴 등 주요 유통사와 함께 대규모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한우 소비 촉진과 한우농가 및 소비자 상생을 위한 ‘2025 한우상생위크’ 캠페인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모션이 펼쳐진다. 먼저, 쿠팡은 6월 2일부터 8일까지 로켓프레시를 통해 ‘한우상생위크-한우 할인 기획전’을 운영한다. 2등급부터 1++등급까지 다양한 한우 상품이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제공되며, 등심, 안심, 채끝, 갈비살, 제비추리, 업진살 등 총 35개 품목에 한해 할인 혜택과 구매자 대상 재구매 쿠폰이 함께 증정된다. 같은 기간 믿음한우는 전남 지역 4개 오프라인 매장에서 ‘육육데이 맞이 암소 한우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2~1++ 등급의 등심, 안심, 채끝, 국거리, 불고기 등 다양한 부위를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이며, 품질 좋은 지역 브랜드 한우를 보다 합리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행사는 목포점, 일로점, 남악점, 옥암점에서 진행되며, 옥암점의 공식 커뮤니티(네이버 밴드)를 통해 택배 주문도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