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21년 항공여객 3,636만 명(’20년 대비 7.7%↓, ’19년 대비 70.5%↓)

- ’20년 대비 국제여객 77.5%↓, 국내여객 31.7%↑, 항공화물 11.4%↑

- ’19년 대비 국제여객 96.4%↓, 국내여객 0.5%↑, 항공화물 15.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1년-연간_동향보도자료용(가로).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8pixel, 세로 241pixel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21년 항공여객이 전년 대비 7.7% 감소한 3,636만 명으로, 국제선 여객은 전년 대비 77.5% 감소(’19년 대비 96.4% 감소)한 321만 명을, 국내선 여객은 전년 대비 31.7% 증가(’19년 대비 0.5% 증가)한 3,315만 명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명) : 10,936(’17) → 11,753(’18) → 12,337(’19) → 3,940(’20) → 3,636(’21)

      -  국제여객(만명) : 7,696(’17) → 8,593(’18) → 9,039(’19) → 1,424(’20) → 321(’21)

      -  국내여객(만명) : 3,241(’17) → 3,160(’18) → 3,298(’19) → 2,516(’20) → 3,315(’21)

 

    전체 항공화물은 전년 대비 11.4% 증가한 362만 톤을, 수하물을 제외한 항공화물은 전년 대비 17.0% 증가한 340만 톤을 기록하였다.

 

⑴  (국제선 여객) 델타‧오미크론 등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급감한 국제선 항공여객은 전년 대비 77.5% 감소(’19년 대비 96.4% 감소)한 321만 명을 기록하였다.

 

< 국제선 여객 - 최근 5년간 연도별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63c000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2pixel, 세로 482pixel

 

< 국제선 여객 - ’21년 월별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f4bde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4pixel, 세로 422pixel

 

    (지역별) 중동 등 기타(4.7%)를 제외한 일본(△93.3%)·중국(△81.1%)·아시아(△88.3%) 등 전 지역이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 지역별 국제선 실적 (단위 : 명) >

구 분

일본

중국

아시아

미주

유럽

대양주

기타

2019년

18,863,541

18,433,760

36,442,527

5,544,177

6,586,655

3,493,605

1,021,375

2020년

2,221,006

2,247,513

6,032,026

1,535,141

1,170,278

732,676

301,282

2021년

148,363

424,587

707,774

1,035,579

497,675

80,089

315,297

‘21/’20(%)

△93.3

△81.1

△88.3

△32.5

△57.5

△89.1

4.7

‘21/’19(%)

△99.2

△97.7

△98.1

△81.3

△92.4

△97.7

△69.1

 * 아시아는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 전체 포함

** 기타지역 국가 : 중동, 아프리카, 국제선 국내공항 경유노선, 북한 등

 

< 주요지역 국제선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f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32pixel, 세로 359pixel

 

    (국가별) ’21년 국제선 여객의 70.2%를 상위 10개국에서 운송하였다.  1위는 미국(89만 명)으로 ’19년 대비 22.4%p 증가한 27.7%의 점유율을 기록했고, 2위 중국(42만 명), 3위 일본(15만 명) 순으로 나타났다.

 

< 국가별 연도별 순위 >

순위

국가명

2019

2020

2021

’21/’20

’21/’19

1

미국

7위

4,744,637  

4위

1,316,577  

1위

887,594  

△32.6

△81.3

2

중국

2위

18,433,760

1위

2,247,513  

2위

424,587  

△81.1  

△97.7

3

일본

1위

18,863,541  

2위

2,221,006  

3위

148,363  

△93.3  

△99.2

4

아랍에미레이트

18위

666,283  

16위

166,395  

4위

145,383  

△12.6  

△78.2

5

베트남

3위

9,779,358  

3위

1,629,549  

5위

132,782  

△91.9  

△98.6

6

캐나다

16위

714,572  

14위

185,886  

6위

123,902  

△33.3  

△82.7

 

⑵  (국내선 여객) 코로나19 여파로 급감한 해외여행 대신 국내여행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31.7% 상승(’19년 대비 0.5% 상승)한 3,315만 명으로, 그간 최고치였던 ’19년 3,298만 명을 넘어섰다.

 

< 국내선 여객 - 최근 5년간 연도별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63c000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8pixel, 세로 462pixel

 

< 국내선 여객 - ’21년 월별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63c001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5pixel, 세로 422pixel

 

    (공항별) 국내선 여객은 인천(△98.2%)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항에서 전년 대비 증가하였고, 팬데믹 확산 이전인 ‘19년과 비교하면 김포(7.0%)・김해(21.1%)・여수(74.7%) 등은 증가하였지만 제주(△9.8%)・대구(△2.3%)・인천(△99.7%)은 감소하였다.

 

< 국내선 공항별 실적 (단위 : 명) >

구 분

제주

김포

김해

청주

대구

광주

울산

여수

인천

2019년

14,158,608

10,427,067

3,652,099

1,239,492

1,038,532

1,004,299

392,279

318,250

278,242

2020년

10,324,520

8,363,345

3,025,384

948,729

751,731

858,864

278,023

325,565

45,404

2021년

12,771,735  

11,158,837

4,422,165

1,304,991

1,014,279

1,075,603

450,363

556,069

833

‘21/’20(%)

23.7

33.4

46.2

37.6

34.9

25.2

62.0

70.8

△98.2

‘21/’19(%)

△9.8

7.0

21.1

5.3

△2.3

7.1

14.8

74.7

△99.7

 

   (항공사별) 국내선 여객 중 대형항공사 운송량은 전년 대비 12.1% 증가한 930만 명(점유율 28%), 저비용항공사는 41.3% 증가한 2,385만 명(점유율 72% 차지)을 기록하였다.

 

⑶  (항공화물) 수출 호조 및 해운물류 전환 등으로 전체 항공화물은 전년 대비 11.4% 증가(’19년 대비 15.2% 감소)한 362만 톤을, 수하물을 제외한 항공화물은 전년 대비 17.0% 증가(’19년 대비 16.3% 증가)한 340만 톤을 기록하였다.

 

< 항공화물 - 최근 5년간 연도별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63c001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7pixel, 세로 472pixel

 

< 항공화물 - ’21년 월별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f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426pixel

 

    (국제화물) 수출 호조 등으로 전년 대비 11.4% 증가(’19년 대비 14.8% 감소)한 342만 톤을,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은 대양주(△16.6% 감소)를 제외한 전 지역의 증가로 17.5% 성장(’19년 대비 18.0% 증가)하며 333만 톤을 기록하였다.

 

      *  국제화물(만톤) : 403(’17) → 417(’18) → 402(’19) → 307('20) → 342('21)

     수하물 제외 국제화물(만톤) : 299(’17) → 302(’18) → 282(’19) → 283('20) → 333('21)

 

    (국내화물) 내륙(16.6%)‧제주(12.2%)노선 모두 수하물이 증가하면서 국내화물은 전년 대비 12.5% 증가한 20.5만 톤을 기록하였으나, 수하물 제외 순수 국내화물은 전년 대비 4.5% 감소하였다.

 

      *  국내화물(만톤) : 29.0('17) → 27.3('18) → 25.9('19) → 18.2('20) → 20.5('21)

      수하물 제외 국내화물(만톤) : 13.2('17) → 12.1('18) → 10.1('19) → 7.3('20) → 7.0('21)

 

  국토교통부 김용석 항공정책실장은 “지난해 항공분야는 코로나-19라는 유례없는 어려움 속에서도 철저한 방역관리를 통해 감염병 해외 유입을 최소화하면서 사이판 등 트래블 버블(여행안전권역), 무착륙 국제관광비행, 유휴 여객기의 화물기 활용 등 도전적인 정책을 통해 경쟁력을 발휘해 왔다”면서,  

 

    “올해는 방역안전 중심의 항공운항 회복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운항재개에 따른 선제적 안전관리, 지속가능한 항공생태계 구축을 위한 항공산업발전조합 설립, 나아가 드론 활성화와 MRO 경쟁력 제고 등 항공업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경제회복을 선도하는 항공산업 재도약의 한 해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우, 말레이시아 미식 무대에 오르다” 한우자조금, ‘2025 한우 쿠킹쇼’ 성료...프리미엄 K-푸드 한우 가치 알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가 지난 6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2025 한우 쿠킹쇼(The Taste of Korea’s Finest, HANWOO)’를 성황리에 개최하며, 프리미엄 K-푸드로서 한우의 가치와 글로벌 경쟁력을 현지 외식 및 유통 관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렸다.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우자조금이 공동 주최·주관하고,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과 aT 쿠알라룸푸르지사가 협력한 가운데 ‘K-컬처 페스티벌 2025’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한우 수출국 중 최초의 무슬림 국가인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본 쿠킹쇼는 프리미엄 한우의 현지 경쟁력을 확인하는 자리로 평가받았다. 이날 행사에는 미슐랭 1스타 셰프 손종원이 초청되어 ‘진심을 담은 음식’을 주제로 한우 요리 시연을 펼쳤다. 손 셰프는 한우 타르타르, 한우 불고기 잡채, 한우 육회 비빔밥, 된장 양념 한우 구이 등 전통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뉴를 선보였으며, 숯불과 볏짚을 활용한 구이 방식으로 한우 고유의 감칠맛과 식감 차별성을 부각시켜 큰 호응을 얻었다. 한 참석자는 “스타 셰프가 직접 숯불로 한우를 구워주는 퍼포먼스가 인상 깊었다”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