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농식품부,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 차질 없이 추진

- 8.29.기준 85천 톤 공급 완료(당일까지 공급계획 대비 103.7%) -

- 배추‧무‧마늘‧양파‧감자 등 농산물 공급량 4천 톤 이상 확대(총 144천 톤→148) -

- 농축산물 할인쿠폰 최대 450억 원 집행 중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8월 31일(수) 오후, 농림축산식품부 대회의실에서 김인중 농식품부차관 주재로 2022년 8월 농식품 수급상황 확대 점검회의(이하 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점검회의는 농식품부가 추석 성수기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 8월 11일 발표한 ① 14개 추석 성수품*의 공급량을 평시 대비 1.5배 수준으로 확대, ② 농축산물 할인쿠폰 지원규모를 월 90억 원에서 최대 450억 원까지 확대, ③ 성수품 가격 등 알뜰 소비정보 제공 및 유통질서 확립을 통한 생산자와 소비자 보호 강화 등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태풍 등 수급여건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농산물) 배추·무·사과·배·마늘·양파·감자, (축산물)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계란, (임산물) 밤·대추·잣

 

 

< 2022년 8월 농식품 수급상황 확대 점검회의 개요 >

 

 

 

 ▪ 일시: 2022. 8. 31.(수) 16:00~17:30,

 ▪ 장소: 정부세종청사 5동 농식품부 대회의실

 ▪ 참석: 17명

   - (농식품부) 차관(주재), 유통소비정책관, 식량정책국장, 식품산업정책관, 축산정책관, 원예산업과장(간사)

   - (유관기관)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산림청 사유림경영소득과장, 농협 품목지원본부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급이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장, 한국식품산업협회 이사, 육류유통수출협회 회장, 도매시장법인(대아청과) 관계자,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관계자

 ▪ 주요내용: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대책 추진상황 등 점검

 

  먼저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품 수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추석 3주 전(8월 18일)부터 정부 비축, 농협 계약재배 물량 등을 활용하여 14개 추석 성수품을 평시 대비 1.5배 수준으로 확대․공급하고 있다. 8월 29일 현재 추석 성수품 공급물량은 85천 톤으로 당일까지 공급계획 82천 톤 대비 103.7%, 전체 공급물량 144천 톤 대비 58.7%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남은 추석 성수기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배추‧무‧양파‧마늘‧감자 등 농산물의 공급량을 4천 톤 추가하여 전체 성수품 공급물량을 148천 톤으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14개 품목별 가격 동향 및 수급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추가 공급량: 3,905톤(배추 1,050, 무 2,100, 양파 350, 마늘 35, 감자 370)

 

  (배추·무) 배추와 무는 재배면적 감소 및 일조량 부족에 따른 생육 지연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하여 가격이 전‧평년 대비 높은 상황으로, 추석 성수기를 맞이하여 정부 비축물량과 농협 계약재배물량을 활용하여 8월 18일부터 매일 배추는 약 310톤, 무는 약 260톤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농진청, 농업관측센터 등으로 산지 작황관리팀을 구성하여 생육·병해 점검, 기술지도, 약제지원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남은 추석 성수기 가격안정을 위해 9월 1일부터 농협 채소가격안정제 계약재배물량을 활용하여 배추는 1,050톤(150톤/일), 무는 2,100톤(300톤/일) 이상 공급량을 늘릴 계획이다.

 

* 배추(소매) : (8.상) 6,673원/포기 → (8.중) 6,738 → (8.하) 6,594 (평년비 2.8%↑, 전년비 41.9%↑)

* 무  (소매) : (8.상) 3,078원/개 → (8.중) 3,144 → (8.하) 3,204 (평년비 19.1%↑, 전년비 43.7%↑)

 

  (양파·마늘) 양파와 마늘 역시 올해 생산량 감소로 인해 가격이 전‧평년 대비 높은 상황으로, 추석 성수기 수급안정을 위해 8월 18일부터 정부 비축물량을 활용하여 매일 양파는 200톤, 마늘은 20톤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남은 추석 성수기 동안 정부비축물량을 활용하여 양파는 350톤(50톤/일), 마늘은 35톤(5톤/일) 이상 공급을 늘려 가격 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 양파(소매) : (8.상) 2,592/kg → (8.중) 2,444 → (8.하) 2,538 (평년비 34.9%↑, 전년비 25.5%↑)

* 깐마늘(소매) :  (8.상) 13,552/kg → (8.중) 13,503 → (8.하) 13,178 (평년비 37.1%↑, 전년비 8.9%↑)

 

 (사과·배) 사과‧배는 8월 하순으로 접어들면서 성수품 공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배 가격은 하락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사과는 이른 추석 영향으로 상품(上品) 비중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다소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으나, 추석 수요량 대비 공급물량이 여유가 있어 가격은 점차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 추석 성수기 출하가능 물량(전망): (사과-홍로) 70~75천톤(수요량 60천톤 대비 16~25%↑), (배) 65~70천톤(수요량 56천톤 대비 16~26%↑)

 

    농협 계약재배 물량을 활용하여 선물꾸러미 등 수요가 급증하는 추석 전 2주 차에 전체 공급량의 60%를 시장에 집중 방출하고 있다. 다음 주 예보된 제11호 태풍은 국내 영향 여부는 아직 유동적이나, 추석 성수품으로 공급되는 과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이 9월 3일 전․후 수확이 완료될 예정으로 태풍으로 인해 성수품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추석 이후 수확되는 만생종 과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수원 지주시설, 방풍망, 배수로 등 정비를 위한 합동점검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해 대비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사과(홍로, 소매) : (7월) -원/10개 → (8.26) 30,553 → (8.29) 29,516 (평년비 -, 전년비 17.1%↑)

* 배(신고, 소매) : (7월) 40,086원/10개 → (8.중) 41,425 → (8.29) 32,362 (평년비 16.4%↓, 전년비 35.9%↓)

 

  (감자) 감자의 경우 노지봄감자 작황 부진으로 가격은 전‧평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추석 성수기 동안 정부 비축물량 및 농협 계약재배 물량을 활용하여 매일 250톤을 공급하고 있다. 앞으로 추석 성수기 동안 공급물량을 370톤 확대(300톤/일, 총 4,700톤→5,070)하여 가격 안정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

 

* 감자(소매) : (8.상) 409/100g → (8.중) 410 → (8.하) 416 (평년비 40.1%↑, 전년비 38.7%↑)

 

 (소고기·돼지고기) 소고기의 경우 공급 여력이 충분하여 이번 추석 대책기간 역대 최고 수준 물량이 공급되고 있고, 돼지의 경우 8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도축이 진행됨에 따라 가격은 앞으로 더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휴일에 도축장 정상 운영, 도축수수료 지원(한우 암소 10만 원/마리당, 돼지 1만 원/마리) 등을 통해 공급물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사육마릿수(’22.2분기, 통계청): (한육우) 367만(평년비 13.1%↑, 전년비 3.0%↑)

   * 추석 전 3주차(8.18~8.24) 한육우 공급량: 32,208마리(평년비 14.2%↑, 전년비 16.8%↑)

 

* 한우(설도1등급, 소매) : (8.상) 4,393원/100g → (8.중) 4,466 → (8.하p) 4,312 (평년비 9.6%↓, 전년비 18.9%↓)

* 돼지(삼겹살, 소매) : (8.상) 2,611원/100g → (8.중) 2,632 → (8.하p) 2,709 (평년비 17.9%↑, 전년비 1.8%↑)

 

  (닭고기·계란) 닭고기는 지속적인 입식 확대 노력으로 8월 하순 가격이 하락 추세이고, 계란도 9월 1일 기준 계란 생산량이 일일 약 4,700만개(평년비 6.8% 상승, 전년비 8.1% 상승)로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어 산지가격은 지속 하락하고 있다. 추석 성수기를 맞이하여 공급물량을 닭고기는 일일 710톤에서 923톤으로 확대, 계란은 60톤에서 69톤으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추석 때까지 지속할 계획이다.

 

* 닭고기(소매) : (8상) 5,685 → (8중) 5,642 → (8하) 5,643 (평년비 5.9%↑, 전년비 1.0%↑)

* 계란(소매) : (8.상) 6,721원/특란30개 → (8.중) 6,650 → (8.하) 6,666 (평년비 15.8%↑, 전년비 1.6%↓)

 

  (밤·대추·잣) 8월 말부터 햇밤‧햇대추가 출하되면서 성수품 공급이 원활하고, 잣은 저장량이 충분하여 차질없이 공급되고 있어 추석 소비자 가격은 전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밤(소매) : (8.상) 6,026/kg → (8.중) 6,035 → (8.하) 5,934(평년비 12.6%↓, 전년비 20.9%↓)

* 대추(소매) : (8.상) 16,990/kg → (8.중) 17,018 → (8.하) 16,664 (평년비 0.2%↑, 전년비 10.6%↓)

* 잣(소매) : (8.상) 100,683/kg → (8.중) 100,692 → (8.하) 100,6611(전년비 5.1%↓)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품 확대 공급과 함께 추석 성수기 소비자의 실질적인 물가 체감도를 낮추기 위해 8월 15일부터 9월 12일까지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추석맞이 농축수산물 할인대전”을 개최하고, 행사기간 내 농축산물 할인쿠폰 예산을 월 90억 원에서 최대 450억 원까지 확대하여 배추, 무, 사과, 배 등 14개 추석 성수품을 20~30% 할인 판매하고 있다.

 

   * 할인품목: [농축산물] 배추, 무, 사과, 배, 양파, 마늘, 감자, 소고기(설도, 양지), 돼지고기(삼겹·목살, 갈비, 앞다리), 닭고기, 계란, [임산물] 밤, 대추, 잣

 

 

  이번 할인행사는 1인당 할인 한도를 1만 원에서 2만 원(전통시장·로컬푸드 직매장은 2만 원에서 3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였고, 행사 품목에 대한 유통업체 자체 할인(10~20% 추가)과 연계하여 할인 폭을 확대하였다. 이번 할인행사에는 5개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지역농산물(로컬푸드) 직매장 25개, 전통시장 588개 등 전국 2,952개 유통업체가 동참하고 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기 성수품 가격 등 알뜰 소비정보를 제공하고, 유통질서 확립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알뜰 소비를 돕기 위해 성수품 가격 및 선물꾸러미 구입비용에 대한 조사 결과*와 주변 장터 정보 등의 유용한 소비정보를 “농산물유통정보(www.kamis.or.kr)” 및 “바로정보(www.baroinfo.com)” 누리집과 라디오, 지역방송,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시로 제공하고 있다.

 

   * (성수품) 8.25일, 9.1일 2차례, (선물꾸러미) 9.1일 1차례 조사 발표(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또한 추석 성수기에 농축산물 부정유통 행위로 인해 농업인과 소비자가 피해를 받지 않도록 원산지․축산물이력관리 등 부정유통 특별단속을 실시하고, 이와 함께 포유류․가금류 도축장에 대한 특별 위생점검 및 제수․선물용 농축산물에 대한 안전성 특별조사도 실시하고 있다.

 

   * 원산지‧축산물이력‧양곡·지리적표시 등 부정유통행위 특별 단속(’22.8.16~9.9. 25일간), 도축장 특별 위생점검(’22.8.16~9.8. 24일간), 농산물 안전성 조사(’22.8.8.~9.8. 32일간)

 

  김인중 농식품부차관은 “현재 추석 성수품의 공급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제11호 태풍의 진행경로에 따라 일부 품목의 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사과‧배 등 과일류의 수확은 9월 3일 이전까지 대부분 마무리될 예정이고, 배추‧무 등 노지채소류는 정부 비축물량을 최대한 방출할 계획으로 추석 성수품 공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또한 “농식품부는 추석 연휴 전까지 차관 주재로 매일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을 운영하면서 추석 성수품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태풍 등으로 인한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는 등 추석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