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정부, 9월 가뭄 예‧경보 발표

- 전국 대부분 가뭄 해갈, 남부지방 일부 가뭄 지속 -

정부는 8 ․ 9월 내린 비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가뭄이 해갈되었으나, 남부지방 일부에서는 가뭄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965.9㎜)은 평년의 94.5%이며, 남부지방 강수량은 평년의 70%대로 일부 지역에서 기상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 지역별 강수량/평년비 : (남부) 774.7㎜/76.0%, (중부) 1,230.6㎜/120.3%

 

  < 표 1 > 최근 6개월 전국 누적강수량 현황(’22.3.12.~9.11.)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

965.9

1527.7

1241.4

1343.2

1037.9

1059

1060.2

790.0

748.1

689.6

867.1

1124.5

평년비1) (%)

94.5

144.1

118.7

124.3

107.5

107.8

109.3

78.8

71.5

78.8

74.1

99.6

평년값 (㎜)

1019.7

1058.4

1046.8

1086.6

967.1

981.0

974.3

1009

1045.7

866.3

1162.5

1156

   ※ 최근 1년(’21.9.12.~’22.9.11.) 누적 강수량(1,174.2㎜)은 평년의 88.6%

 

  앞으로 11월까지는 강수량이 대체로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남부지방의 기상가뭄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10월) 평년(37.0~64.3㎜)과 비슷, (11월) 평년(30.7~55.1㎜)과 비슷·적음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 저수율은 평년의 107.4%로 대부분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었으나, 강수량이 적은 전남 ․ 북 지역은 평년의 90% 수준이다.

 

< 표2 > 전국 및 시도별 평균 저수율 현황(9. 11. 기준)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저수율

(%)

금년 (A)

72.4

85.6

95.5

91.4

83.0

61.8

55.4

81.7

79.7

74.9

평년 (B)

67.4

71.4

77.5

70.4

66.4

68.6

61.8

69.1

69.5

65.9

평년대비 (A/B %)

107.4

119.9

123.2

129.8

125.0

90.1

89.6

118.2

114.7

113.7

 

  9월은 추수기에 접어드는 만큼 농업용수 수요가 감소하기에 농업용수 가뭄 우려는 적으나, 저수율 관리 등 가뭄 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생활 ․ 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20곳) 및 용수댐(14곳) 저수율은  최근 내린 비로 예년 대비 104%, 100%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기존 가뭄 단계로 관리했던 운문댐 등 8개 댐*은 저수량이 정상 회복되어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가뭄단계를 해제하였다.

     * 운문ㆍ안동ㆍ임하ㆍ영천ㆍ합천ㆍ밀양ㆍ군위ㆍ연초댐

  

  다만, 전남의 ‘주암 ․ 수어 ․ 평림댐’은 여전히 저수율이 낮아 가뭄 심각 단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댐 방류량을 엄격히 관리할 예정이다.

  

 < 표3 > 전국 다목적댐ㆍ용수댐 저수량 현황(9.11.기준)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 체

한 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

(백만㎥)

금년 (A)

7,950

4,112

1,736

1,507

399

197

266

예년 (B)

7,642

3,478

1,844

1,472

637

211

265

예년대비 (A/B %)

104%

118%

94%

102%

63%

93%

100%

  

  또한, 일부 도서 ․ 산간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용수공급 제한 및 운반급수 등 비상 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 (비상급수 현황) 6개 지역(인천 중구옹진, 전남 진도완도, 경북 안동, 경남 통영) 5,900세대, 12,058명

 

 김성중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 “지난 8 ․ 9월 내린 비로 대부분 가뭄이 해갈되었으나, 전남을 중심으로 일부 가뭄이 지속되고 있다”라고 언급하면서,

 

  “정부에서는 가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모니터링)하고 철저한 저수량 관리로 가뭄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재배 쉽고 수확량 많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느티만가닥버섯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을 한층 높인 하얀색 품종 ‘백마루24’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느티만가닥버섯은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고 조리 활용도*가 높아 성장 잠재력이 큰 품목이다. 하지만, 갈색 품종에서 분리된 하얀색 품종(변이종)은 재배 안정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까다로워 생산에 차질을 빚어왔다. * 느티만가닥버섯은 팽이버섯보다 머리가 크고 대가 굵어서 오독오독 씹는 맛이 좋음. 찌개, 볶음, 구이용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일본에서는 매우 대중적인 버섯임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2021년 개발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를 기반으로, 수량성과 균일성을 한층 강화한 ‘백마루24’를 새롭게 육성했다. ‘백마루24’는 흰색을 뜻하는 ‘백(白)’과 하늘의 순우리말 ‘마루’를 합친 기존 이름에, ‘개발 연도(2024년)’와 ‘24시 편의점’처럼 언제나 고르게 생산되는 모습을 형상화해 붙인 이름이다. 버섯 재배 속도가 고르고, 수확할 때 크기와 모양 편차가 적어 상품성이 높다. 특히, 균사 활력이 뛰어나 기존 상용 품종(80∼90일)보다 약 10일 빠른 70일 만에 버섯을 배양해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