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정부, 1월 가뭄 예‧경보 발표

- 전남지역 자율절수 수요조정제도 참여 확대, 가뭄 총력 대응 -

 정부는 광주‧전남 등 남부지역에 겨울 가뭄이 지속되고 있어 용수 확보에 중앙과 지방이 협력하여 총력 대응하는 한편, 가뭄 지역 주민의 물 절약 실천을 위한 홍보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795.1㎜)은 평년의 93.1%이나, 남부지역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약 69~86%로 기상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 중부/남부 강수량(평년비) : (중부) 1,044.4㎜(117.4%) / (남부) 615.0㎜(75.5%)

 

  < 표 1 >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22.7.3.~’23.1.2.)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

795.1

1225.1

1078.5

1106.6

1022.5

922.8

913.7

620.4

555.7

635.4

628.9

880.1

평년비1) (%)

93.1

133.2

114.8

118.0

108.5

111.5

110.3

73.1

69.2

86.4

70.1

99.4

평년값 (㎜)

848.4

919.1

943.3

947.0

935.9

826.4

829.4

855.7

807.7

728.0

894.4

921.3

   ※ 최근 1년(’22.1.3.~’23.1.2.) 누적 강수량(1140.6㎜)은 평년의 86.1%

 

  앞으로 3월까지는 강수량이 대체로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남부 일부지역의 기상가뭄은 대체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1월) 평년(17.4~26.8㎜)과 비슷·적음, (2월) 평년(27.5~44.9㎜)과 비슷,

      (3월) 평년(42.7~58.5㎜)과 비슷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평년의 96.7%로 대부분 정상이나, 강수량이 적은 전북과 전남의 저수율은 평년의 77% 수준이다.

 

 < 표2 > 전국 및 시도별 저수지 평균 저수율 현황(1. 2. 기준)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저수율

(%)

‘23.01.02.

68.7

90.6

91.4

87.7

93.7

54.7

49.2

76.5

71.7

61.9

‘22.12.04.

68.0

89.4

92.8

86.9

91.3

53.8

48.8

76.2

71.1

63.3

전월대비(%)

↑ 0.7

↑ 1.2

↓ 1.4

↑ 0.8

↑ 2.4

↑ 0.9

↑ 0.4

↑ 0.3

↑ 0.6

↓ 1.4

평년대비(%)

96.4

110.5

112.0

113.2

118.5

77.2

77.2

107.4

102.4

99.8

 

  마늘・양파 등 노지 밭작물의 생육상황은 대체로 양호하고 월동기로 밭가뭄 우려는 적을 것으로 전망되나, 용수부족 지역 점검(모니터링)을 통해 용수공급을 계속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영농기까지 가뭄 지속에 대비하여 저수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하천수를 활용한 물 채우기를 실시하고, 전남지역 대규모 저수지(담양‧장성‧나주‧광주호)에 대해서는 하천유지용수를 감량하여 용수를 비축해 나가고 있다.

 

 생활ㆍ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20곳) 및 용수댐(14곳) 저수율은 예년의 101%, 98% 수준이다.

 

  다만, 전남북의 ‘주암ㆍ수어ㆍ평림ㆍ섬진강댐’은 저수율이 낮아 댐 관리기준은 ‘심각’단계이고, 경남의 ‘합천댐’은 ‘주의’단계로서 댐 공급량을 보다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 표3 > 전국 다목적댐ㆍ용수댐 저수량 현황(1. 2. 기준)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 체

한 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

(백만㎥)

‘23.01.02.

6,690

3,650

1,345

1,261

281

153

211

‘22.12.04.

7,095

3,839

1,440

1,335

315

166

224

전월대비(백만㎥)

↓ 405

↓ 189

↓ 95

↓ 74

↓ 34

↓ 13

↓ 13

예년대비(%)

101.1

120.9

82.7

100.1

52.5

88.8

97.9

 

 또한, 일부 도서ㆍ산간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용수공급 제한 및 운반급수 등 비상 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 표4 >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1. 2. 기준)

 

구 분

비상급수 현황

전월 대비

합  계

 8개 시·군·구 48개소(10,665세대, 18,814명)

(증가) 743세대 898명

도서지역

 5개 시·군·구* 45개소(10,564세대, 18,551명)

 * 인천 중구‧옹진, 전남 완도‧진도, 경남 통영시

(증가) 경남 통영

* 721세대 848명

산간지역

 3개 시·군·구* 3개소(101세대, 263명)

 * 경기 광주시, 전남 화순군, 경북 안동시

(증가) 경기 광주

* 22세대 50명

 

 정부는 남부지방 가뭄 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1월 중 가뭄 진입이 예상되는 안동‧임하‧영천댐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 가뭄대책 전담조직(TF)’에 경상북도까지 참여를 확대하여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 관계부처 합동 가뭄대책 TF 참여 지자체 : 광주‧전남(‘22.11.11), 경남(’22.12.1.), 전북(‘22.12.15.)

 

  - 가뭄단계에 진입하는 경우 환경부의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단계별 가뭄대책*을 추진하며, 경상북도에서는 선제적으로 용수확보방안 등 가뭄대책을 수립하여 가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 (관심) 댐 모니터링 강화, (주의) 하천유지용수 감량, (경계) 농업용수 감량, (심각) 생활‧공업용수 감량

 

  아울러, 환경부가 추진하는 ‘자율절수 수요조정제도’는 주암댐‧평림댐 공급지역 13개 지자체

* 중 8개 지자체**가 참여(1.2. 기준)하였으며, 나머지 5개 지자체에 대해서도 신속히 동참할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하고 있다.

 

   ※ (자율절수 수요조정제도) 수자원공사‧지자체 간 협의를 통해 정한 절감 목표 달성 시 지원금 지급

    * (참여대상) 광주, 전남 고흥‧보성‧목포‧담양‧장성‧영광‧함평‧광양‧여수‧순천‧나주‧화순

   ** (참여완료) 전남 고흥‧보성‧목포‧담양‧장성‧영광‧함평‧광양

 

 농식품부는 내년 영농에 대비하여 저수율이 낮은 저수지에 대해 하천수 양수를 통한 물 채우기를 실시하고 하천수, 농경 배수를 활용하여 농경지에 용수를 직접 공급하는 등 선제적 용수확보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한다.

 

 환경부는 지난 1월 5일 한화진 장관이 광양에 소재한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수어댐 현장을 살피고 해수담수화 시설에 대해 논의하는 등 가뭄대책을 세심하게 점검하였다.

 

  산업부는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협력하여 광주‧전남지역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보성강댐 발전용수를 주암댐에 공급하고 있다.

 

김성중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 “광주 동복댐과 순천 주암댐의 저수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어 철저한 용수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언급하면서, “정부는 광주 동복댐 비상도수관로 사업 등 가뭄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점검하고 독려할 계획이며, 남부지역 국민께서도 생활 속 물 절약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