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노지채소 수확기까지 생육 상황 점검 철저

- 한훈 차관, ‘농식품 수급 및 생육상황 점검회의’ 매주 개최
- 현재 노지채소 생육상황은 대체로 양호하나, 무‧당근‧고추 등은 다소 부진
- 수확기까지 민‧관 합동 「노지채소 생육관리협의체」 운영, 생산 안정에 만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6월 12일(수)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한훈 차관 주재로 ‘농식품 수급 및 생육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 참석 : 농식품부, 농진청, 전남도, 경북도, 농협경제지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한국농업유통법인중앙연합회, 전남서남부채소농협, 봉양농협, 진부농협 등

 

 

  이번 회의는 농식품 물가의 안정적 흐름이 6월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도록 차관이 직접 수급 및 생육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물가 전반에 대한 사항은 매월 초 점검하고, 나머지 주간에는 주요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점검한 후, 관련 상황과 대응 방안을 국민에게 자세히 안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먼저 6월 상순 전반적인 농축산물 가격을 살펴보면, 농산물은 기상 여건이 양호하고 출하 지역이 확대되면서 시설채소류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가격이 낮아지고 있고, 특히 제철을 맞은 수박과 참외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 6월 상순 주요 농산물 소비자가격 상승률(KAMIS, 전월비, %) : 배추 △4.0, 대파 △0.3, 파프리카 △0.6, 토마토 △16.8, 상추 △2.1, 오이 △9.4, 깻잎 △1.8, 청양고추 △1.4, 애호박 △16.1, 참외 △11.9, 수박 △5.7

 

  축산물은 계절적 수요 증가 등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전월 대비 다소 높아지고 있으나 전년보다는 낮은 수준이며, 소고기, 닭고기, 계란은 전월 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6월 상순 주요 축산물 소비자가격 상승률(축산물품질평가원, 전월비/전년비, %) : 한우(등심) △7.2/△17.8, 돼지고기(삼겹) 6.8/△6.8, 닭고기 △1.1/△9.9, 계란 △1.8/0.7

 

  이번 주에 중점적으로 점검할 분야는 여름철 기상 여건에 따라 수급 여건이 불리해질 수 있는 노지채소이다. 올여름 강수량과 기온은 평년(’91~’20)과 비슷 또는 많거나 높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선제적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 주요 점검품목 : 배추, 무, 양배추, 당근, 마늘, 양파, 건고추 등 7개 품목

 

  1 [배추] 현재 문경, 영양, 영월 등 경북과 강원지역 등에서 노지봄배추가 본격 출하되고 있는데, 작황이 전반적으로 양호하고 재배면적도 전‧평년 대비 증가하여 수급이 안정적인 상황이다.

 

    * 노지봄배추 재배면적(KREI) : 3,611ha (전년비 17.9%↑, 평년비 4.3%↑)

    * 배추 도매가격 : (5.중) 3,795원/포기 → (5.하) 3,578 → (6.상) 3,663 (전년비 3.1%↓, 평년비 1.0%↓)
배추 소매가격 : (5.중) 3,775원/포기 → (5.하) 2,188 → (6.상) 2,206 (전년비 23.8%↓, 평년비 10.1%↓)

 

  여름배추는 현재 고랭지 지역에서 정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재배면적이 전‧평년 대비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여름배추 재배(의향)면적(KREI, ha) : 4,956ha (전년비 5.5%↓, 평년비 5.1%↓)

 

  이에 농식품부는 수급에 여유가 있는 봄배추를 1만 톤 비축하고, 농협 출하조절시설 및 계약재배 등 정부 가용물량(2만 3천 톤)을 확보하는 한편, 기상재해에 대비하여 예비묘 200만 주를 준비할 계획이다.

 

    * 23천톤 : [비축] 봄배추 10천톤, [면적확대] 여름배추 6.8천톤(100ha규모), [출하조절시설] 6.2천톤(6~9월)

 

  2 [무] 저장 겨울무의 출하가 6월 하순에서 중순으로 조기 종료되고, 봄무는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작황도 부진하여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6월 중순부터 노지 봄무가 본격 출하되면 가격은 내림세로 전환되겠지만, 공급량 감소로 전년보다는 다소 높을 전망이다.

 

    * 봄무 재배면적(KREI) : (시설) 146 (전년비 6.2%↓, 평년비 7.0%↓), (노지) 816 (전년비 8.3%↓, 평년비 0.4%↑)

    * 무 도매가격 : (5.중) 1,623원/개 → (5.하) 1,717 → (6.상) 1,500 (전년비 41.9%↑, 평년비 45.7%↑)
무 소매가격 : (5.중) 2,066원/개 → (5.하) 2,065 → (6.상) 2,127 (전년비 6.5%↑, 평년비 22.2%↑)

 

  여름무는 경기지역에서는 정상 생육 중이고, 강원지역에서는 파종 진행 중인데, 재배면적이 전‧평년 대비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여름배추 재배(의향)면적(KREI, ha) : 2,637ha (전년비 3.5%↓, 평년비 3.0%↓)

 

  이에 농식품부는 봄무 5천톤을 비축하고, 7월부터 10월까지 할당관세를 적용하여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3 [양배추] 겨울양배추의 작황 부진으로 급등했던 가격이 6월부터 노지 봄양배추가 본격 출하되면서 내림세로 전환되었다.

 

    * 봄양배추 재배면적(KREI) : (시설) 379 (평년비 9.7%↓, 전년비 3.2%↓), (노지) 1,080 (전년비 3.2%↑, 평년비 3.8%↓)

    * 양배추 도매가격 : (5.중) 5,362원/포기 → (5.하) 5,626 → (6.상) 2,862 (전년비 38.1%↑, 평년비 51.3%↑)
양배추 소매가격 : (5.중) 6,017원/포기 → (5.하) 6,500 → (6.상) 5,847 (전년비 39.5%↑, 평년비 55.3%↑)

 

 

  여름양배추는 생육 초기 단계로 작황은 양호하며, 재배면적도 전‧평년 대비 증가하여 수급이 비교적 안정적일 전망이다.

 

    * 여름양배추 재배(의향)면적(KREI, ha) : 2,153ha (전년비 9.9%↑, 평년비 15.6%↑)

 

  농식품부는 여름철 기상악화로 양배추 작황부진 가능성이 있으므로 10월까지 할당관세를 적용하되 7월 이후에는 평년 수입량으로 한정할 계획이다.

 

  4 [당근] 저장 겨울당근의 품위 저하로 출하가 조기 종료되고, 봄당근의 면적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봄당근의 저장량도 전년 대비 10% 정도 감소하여 8월까지는 공급 부족이 지속될 전망이다.

 

    * 봄당근 재배면적(KREI) : 940 (전년비 1.8%↓, 평년비 1.0%↓), 봄당근 저장의향(KREI) : 전년비 14.8%↓, 평년비 9.6%↓

 

  9월부터 출하되는 여름당근은 작년도 가격이 높아 작목 전환 수요가 발생하여 재배면적이 증가할 전망이다.

 

    * 여름당근 재배(의향)면적(KREI, ha) : 419ha (전년비 8.9%↑, 평년비 9.2%↑)

 

  농식품부는 여름철 공급 부족에 따른 식품‧외식업체의 부담 경감을 위해 9월 말까지 할당관세를 적용하여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5 [마늘] 인편분화기(2~3월)에 잦은 강우, 고온 등으로 남도종 중심으로 총 재배면적의 14.6%에서 벌마늘 피해가 발생하였다. 다만, 대서종‧한지형 작황은 양호한 수준이며, 벌마늘은 깐마늘 및 가공용으로 사용 가능하여 수급 영향은 제한적이다.

 

    * 벌마늘 피해면적(6.10일 기준, ha) : (전체) 23천, (피해) 3.4천(전남 1,866, 경남 988, 제주 546, 대구 4)

    * 마늘 품종별 재배면적 비율(%) : 난지형 81.4%(남도종 29.6, 대서종 51.8), 한지형 18.6%

 

  ’24년산 생산량은 전년보다 감소할 전망이나, 재고량과 수요 감소 등을 고려할 때 가격 상승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 마늘 공급량(천톤) : (’23) 317.2(생산량 312 + 재고량 5.2) / (‘24) 299.2(생산량 293 + 재고량 6.2)

    * 깐마늘 도매가격 : (5.중) 6,833원/kg → (5.하) 6,787 → (6.상) 6,796 (전년비 7.4%↑, 평년비 6.6%↑)
깐마늘 소매가격 : (5.중) 9,310원/kg → (5.하) 9,174 → (6.상) 10,190 (전년비 1.8%↓, 평년비 2.0%↓)

 

  농식품부는 김장철, 명절 등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정부수매비축을 생산자단체 등과 협의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6 [양파] 전남, 경남 등 일부 주산지에서 추대, 분구 등 생육장해가 발생하였으나, 재배면적 증가 등으로 수급은 안정적인 상황이다.

 

    * 양파 피해면적(6.10일 기준, ha) : (전체) 19천, (피해) 5.4천(전남 3,105, 경북 798, 경남 817, 전북 579)

    * 양파 도매가격 : (5.중) 1,197원/kg → (5.하) 1,146→ (6.상) 1,130 (전년비 10.6%↓, 평년비 38.1%↑)
양파 소매가격 : (5.중) 2,167원/kg→ (5.하) 2,103 → (6.상) 2,373 (전년비 13.5%↑, 평년비 17.9%↑)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만생종 양파의 생산량은 전년보다 6.2% 가량 증가하여 수급은 안정적일 전망이다.

 

    * ’24년산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KREI) : 1,067천톤 (전년비 6.2%↑, 평년비 2.8%↓)

 

  농식품부는 김장철, 명절 등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정부수매비축을 생산자단체 등과 협의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7 [건고추] ‘23년산 생산량 감소에 따른 재고량 부족 등으로 가격이 전‧평년 대비 높은 수준이다.

 

    * ’23년산 건고추 생산량(통계청) : 61.7천톤(전년비 10.6%↓, 평년비 15.5%↓)

    * 건고추 도매가격 : (5.중) 13,452원/600g → (5.하) 13,544 → (6.상) 13,664 (전년비 9.5%↑, 평년비 18.1%↑)
건고추 소매가격 : (5.중) 18,740원/600g → (5.하) 18,732 → (6.상) 18,722 (전년비 16.6%↑, 평년비 21.6%↑)

 

  올해 고추의 생육상황은 대체로 양호하나 6월 상순까지 평년보다 낮은 기온으로 생육이 다소 지연되는 상황이며, 재배면적은 전‧평년 대비 감소할 전망이다.

 

    * ‘24년산 건고추 재배(의향)면적(KREI, ha) : 26,859ha (전년비 1.0%↓, 평년비 12.9%↓)

 

  농식품부는 ’24년산 공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에 대비하여 정부 수매 및 수입 비축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한훈 차관은 “농식품부는 ‘24년산 노지채소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농진청, 지자체, KREI, 농협 등과 민‧관 합동으로 지난 3월부터 「노지채소 생육관리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앞으로도 품목별 수확기까지 안정적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육 점검과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농업

더보기
국내 처음 ‘우량비료’ 지정, 환경친화적 고품질 비료 개발 시동
비료관리법에 따른 우량비료 지정제도 시행(1997년) 이후 처음으로 ‘우량비료’ 1호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8월 14일 자로 「농업환경 및 토양의 보호」 분야에서 생분해성 코팅 물질을 활용한 피복복합비료를 우량비료 1호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이 우량비료 지정 활성화를 위해 2023년 지정신청 전 사전검토 절차를 마련하고 신청 자격을 완화하는 등 ‘우량비료 인정기준’ 고시 전면 개정 노력 끝에 얻은 첫 결실이다. 우량비료란 비료 신규 개발 및 품질개선 연구 촉진을 위해 기존 비료 대비 우수한 비료를 국가가 인정한 비료다. 관련 전문가가 지정신청 서류를 검토․심의해 3개 분야(①농업환경 및 토양의 보호 ②농업 생산성의 증대 ③농업 경쟁력 제고) 별로 농촌진흥청장이 지정·고시한다. 국내 처음 지정된 우량비료는 기존 완효성비료에 사용되는 난분해성 코팅 물질을 토양에서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 코팅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환경부하 경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자체, 농협 등은 우량비료 보급을 촉진하고자 사용 방법 지도와 구매 안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박상원 농자재산업과장은 “이번 우량비료 1호 지정은 환경보전과 지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미트체크’ 서비스 시범 운영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부터 11월까지 축산물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축산물이력제 이행 수준 자율점검 서비스인 ‘미트체크’를 시범 운영한다. ‘미트체크’는 유통업체가 이행 수준 점검을 신청하면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장점검 후 피드백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업체는 전산 신고 현황과 이력번호 표시 상태 등을 스스로 점검한 뒤 이력관리시스템의‘미트체크’메뉴에서 서비스를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신청 업체에 직접 방문해 DNA 동일성 검사 등 관리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취약점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점검 결과는 시스템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 축산물이력관리시스템 바로가기: www.mtrace.go.kr 특히,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업체가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면 재점검을 진행해 일회성 점검이 아닌 지속적인 이력제 관리를 지원한다. ‘미트체크’ 서비스는 축산물 안전성이 강조되는 급식 유통 현장에 우선 적용되며, 추후 지자체 및 교육청과 협력을 통해 확대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미트체크’서비스를 통해 업체의 이력제 이행에 대한 체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소비자가 축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