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10.5℃
  • 맑음서울 6.9℃
  • 맑음대전 8.9℃
  • 구름많음대구 8.1℃
  • 맑음울산 8.2℃
  • 구름많음광주 9.0℃
  • 맑음부산 8.9℃
  • 구름많음고창 8.1℃
  • 구름조금제주 10.7℃
  • 맑음강화 8.8℃
  • 구름많음보은 6.3℃
  • 맑음금산 7.9℃
  • 구름조금강진군 10.1℃
  • 맑음경주시 8.8℃
  • 맑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2024년 출생(등록)자 수 24만 명, 9년 만에 증가

- 출생(등록)자 수 24만 2,334명, 2023년 대비 7,295명(+3.10%) 늘어
- 남아는 12만 3,923명, 여아는 11만 8,411명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결과, 우리나라 출생(등록)자 수가 24만 2,334명으로 2023년(23만 5,039명) 보다 7,295명(+3.10%) 늘어 9년 만에 증가했다고 밝혔다.

 

1 출생(등록)자 수 9년 만에 증가

 

 2024년 출생(등록)자 수는 24만 2,334명, 사망(말소)자 수는 36만 757명으로 2023년 대비 각각 7,295명(+3.10%), 6,837명(+1.93%) 증가했다.

 

 특히, 출생(등록)자 수*는 8년 연속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남아(12만 3,923명)의 출생등록이 여아(11만 8,411명) 보다 5,512명 더 많았다.

 

 *(‘16)41만 1,859명 → (‘17)36만 2,867명 → (‘18)33만 4,115명 → (‘19)30만 8,697명 → (‘20)27만 5,815명 → (‘21)26만 3,127명 → (‘22)25만 4,628명 → (‘23)23만 5,039명 → (‘24)24만 2,334명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주민등록 인구 감소(11만 8,423명)는 지속되고 있으나, 그 폭은 2023년(11만 8,881명) 보다 줄어들었다.

 

2 주민등록 인구 5년 연속 감소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이후 5년 연속 줄어들었고, 남자 인구는 6년 연속, 여자 인구는 4년 연속 감소했다.

 

   *(‘20)5,182만 9,023명 → (‘21)5,163만 8,809명 → (‘22)5,143만 9,038명 → (‘23)5,132만 5,329명 → (‘24)5,121만 7,221명

 

 한편, 여자(2,571만 8,897명)가 남자(2,549만 8,324명) 보다 22만 573명 더 많아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를 추월한 이래 여자 인구와 남자 인구 간의 격차*(여자-남자)가 확대됐다.

   

 *(‘15)1만 2,966명 → (‘16)4만 1,028명 → (‘17)6만 6,706명 → (‘18)9만 3,801명 → (‘19)12만 299명 → (‘20)14만 6,965명 → (‘21)14만 5,441명 → (‘22)16만 5,136명 → (‘23)19만 3,857명 → (‘24)22만 573명

 

3 주민등록 인구 평균연령 45.3세, 남자는 44.2세, 여자는 46.5세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5.3세로 2023년(44.8세)에 비해 0.5세 늘었고, 여자(46.5세)가 남자(44.2세) 보다 2.3세 더 많았다.

 

 전국 평균연령(45.3세)에 비해 수도권(44.3세)은 1.0세 낮은 반면, 비수도권(45.9세)은 0.6세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의 평균연령이 수도권 보다 1.6세 높았다.

 

4 60대 인구가 40대 인구를, 70대 이상 인구가 30대 인구를 넘어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50대가 870만 6,370명(17.00%)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60대(15.27%), 40대(15.08%), 70대 이상(12.94%),  30대(12.93%), 20대(11.63%), 10대(9.02%), 10대 미만(6.13%) 순이었다.

 

 - 남자는 50대(17.22%), 40대(15.40%), 60대(15.10%), 30대(13.56%), 20대(12.16%), 70대 이상(10.94%), 10대(9.31%), 10대 미만(6.31%) 순이며,

   

- 여자는 50대(16.78%), 60대(15.43%), 70대 이상(14.93%), 40대(14.76%), 30대(12.31%), 20대(11.10%), 10대(8.73%), 10대 미만(5.95%) 순으로 많았다.

 

 연령대별 성비*를 보면, 30대가 109.20명으로 가장 높고, 20대(108.59명), 10대(105.71명), 10대 미만(105.09명), 40대(103.41명), 50대(101.77명), 60대(97.03명) 순이며, 70대 이상이 72.62명으로 가장 낮았다.

   

 *성비: 여자 1백 명당 남자 수

 

5 0~14세(유소년), 15~64세(생산연령) 인구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고령) 인구 증가 지속

 

 0~14세 유소년 인구는 546만 4,421명,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549만 6,018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25만 6,782명이며, 2023년 대비 0~14세, 15~64세 인구는 각각 19만 9,440명(▲3.52%), 43만 5,039명(▲1.21%)씩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52만 6,371명(+5.41%) 증가했다.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1만 7,221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4세 인구는 10.67%, 15~64세 인구는 69.30%, 65세 이상 인구는 20.03% 이다.

 

 2025년 초등학교 입학예정인 6세 인구(’18.1.1.~12.31.출생)는 33만 4,145명으로 전년(36만 4,740명) 보다 3만 595명(▲8.39%) 감소했다.

 

6 3인 세대가 4인 이상 세대 추월

 

 전체 주민등록 세대수는 2,411만 8,928세대로 2023년(2,391만 4,851세대) 대비 20만 4,077세대(+0.85%) 증가하였고, 평균 세대원 수는 2.12명(▲0.03명)이다.

 

 세대원 수별로 보면, 1인 세대(1,012만 2,587세대), 2인 세대(600만 5,284세대), 3인 세대(405만 2,362세대)는 각각 2023년 대비 18만 6,987세대(+1.88%), 13만 9,211세대(+2.37%), 2만 2,547세대(+0.56%) 증가한 반면, 4인 이상 세대는 감소했다.

   

- 전체 주민등록 세대(2,411만 8,928세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인 세대(41.97%), 2인 세대(24.90%), 3인 세대(16.80%), 4인 이상 세대(16.33%) 순이며 특히, 3인 세대가 4인 이상 세대를 앞질렀다.

 

전체 1인 세대(1,012만 2,587세대) 중 65세 이상 1인 세대는 299만 6,207세대로 29.60%를 차지하였고, 65세 이상 1인 세대 중 여자(197만 4,924세대)가 남자(102만 1,283세대) 보다 95만 3,641세대 더 많았다.

 

7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구 격차 확대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2,604만 7,523명(50.86%),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 9,698명(49.14%)으로 나타났다.

 

 2023년 대비 수도권은 3만 3,258명(+0.13%)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14만 1,366명(▲0.56%) 감소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인구 격차*(수도권-비수도권)는 87만 7,825명으로 늘어났다.

   

 * (’19)1,737명 → (’20)24만 7,591명 → (’21)40만 7,757명 → (’22)53만 1,198명 → (’23)70만 3,201명 → (’24)87만 7,825명

 

8 주민등록 인구 증가한 자치단체는 광역 4곳, 기초 54곳

 

 2023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6만 3,864명), 인천(+2만 3,600명), 충남(+6,455명), 세종(+4,160명) 4곳이고, 그 외 1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인구가 증가한 시·군·구는 경기 화성시(+2만 4,479명), 경기 양주시(+2만 979명), 서울 강동구(+1만 7,775명), 경기 파주시(+1만 3,555명), 서울 강남구(+1만 2,472명) 등 총 54곳이다.

 

 - 특히, 인구감소지역(89곳) 중 충남 예산군(+418명, +0.53%), 인천 강화군(+397명, +0.58%), 전남 영광군(+348명, +0.67%) 등 8곳*의 인구가 전년 보다 증가했다.

  

   * 충남 예산군, 인천 강화군, 전남 영광군, 경기 가평군, 경북 안동시, 전남 신안군, 전북 순창군, 경북 울릉군

 

9 주민등록 인구이동자 수 4년 만에 증가

 

 2024년 주민등록 인구이동자 수는 629만 4,948명으로 2023년(614만 885명) 대비 15만 4,063명(+2.51%) 증가했다. 전체 인구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이 411만 5,557명(65.38%)으로 시·도 간 이동 217만 9,391명(34.62%) 보다 193만 6,166명 더 많았다.

 

 - 수도권에서 수도권(72만 5,760명),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6만 980명),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 8,851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7만 3,800명) 순으로 이동이 많았다.

 

 전국 인구이동률(인구 백명 당 이동자 수)*은 12.28%로 2023년(11.95%) 대비 0.33%p 증가했고, 시·도 간 이동률은 4.25%, 시·도 내 이동률은 8.03%로 2023년 보다 각각 0.07%p, 0.26%p 늘었다.

 

   * 전년 말 주민등록 인구와 당해 연말 주민등록 인구 산술평균의 100명당 이동자 수,
(’21)13.97% → (’22)11.96% → (’23)11.95% → (’24)12.28%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은 경기(+6만 4,318명), 인천(+2만 5,689명), 충남(+1만 4,714명), 충북(+3,255명), 세종(+2,823명) 5곳은 순유입, 그 외에 서울(▲4만 4,956명) 등 12곳은 순유출됐다.

 

10 시·도간 주민등록 인구이동 20대가 가장 많아

 

 2024년 시·도 간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이동은 20대가 66만 8,692명(30.68%)으로 가장 많고, 30대(20.72%), 40대(12.26%), 10대 이하(12.07%), 50대(10.93%), 60대(8.25%), 70대 이상(5.09%) 순이었다.

 

 - 권역의 연령대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수도권은 20대(+5만 4,095명), 10대 이하(+8,398명), 30대(+3,541명), 70대 이상(+193명) 인구가 순유입된 반면, 비수도권은 50대(+9,367명), 60대(+8,208명), 40대(+3,601명) 인구가 순유입됐다.

 

 시·도의 연령대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인천, 세종, 경기, 충남 등 4곳은 전연령대에서, 충북은 20대, 10대 이하를 제외한 연령대에서 순유입됐다.

 

 김민재 차관보는 “우리나라는 5년 연속 인구가 감소하였지만, 9년 만에 출생등록자 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며,

 

 “출생아 수 반전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업하여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민등록 인구현황 등 관련 통계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누리집(jumin.mois.go.kr),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및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농촌융복합사업자들의 한 단계 더 높은 성장을 전문 액셀러레이터가 돕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창업 7년 미만 농촌융복합산업 (예비) 인증사업자를 대상으로 4월 9일부터 4월 28일까지 농촌융복합산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농촌융복합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액셀러레이터*가 중심이 되어 성장 가능성이 있는 7년 미만의 농촌융복합산업 (예비) 인증사업자를 모집하고, 기업진단 및 1:1 맞춤형 컨설팅, 판로개척,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IR 코칭 등을 지원하여 스타트업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액셀러레이터(AC, Accelerator) : 유망 스타트업(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전문 교육, 엔젤 투자 등 종합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창업기획자 민간 중심의 농촌융복합사업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해 ‘24년부터 농촌융복합 분야를 별도로 신설하여 운영한 결과, 참여기업 20개소의 평균 매출액이 전년 대비 42%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농업회사법인 그래도팜㈜은 충남대학교 농업대학과 연계하여 실습생 등을 받는 등 인력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투자유치 컨설팅을 통해 7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하였으며, ㈜부자진 농업회사법인은 관세 교육 및 해외 시장조사, 박람회 참가 지원을 통해 싱가포

축산

더보기
외국인 근로자도 가상농장에서 축산농장 방역 수칙을 쉽게 배울 수 있어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와 함께 축산농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와 신규 진입 축산농장주 등을 대상으로 2025년 4월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은 외국인 근로자와 신규 진입 축산농장주가 축산농장 내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방역 수칙을 잘 알지 못해 가축전염병이 발생한 사례가 있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만든 방역 교육프로그램이다. 기존 가축방역 교육은 집합 대면 교육이나 교육 홍보물 위주의 교육이어서 우리말이 서투른 외국인 근로자나 바쁜 농장 업무로 집합교육에 참석하기 어려운 축산농장주에게는 교육효과가 일부 낮은 측면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역 교육 수요자가 가상농장 안에서 게임을 통해 축산차량 소독, 장화 갈아신기 및 의심 증상 발견 시 신고 요령 등 기본방역 수칙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보완적으로 만들었다.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내려받기 없이 인터넷 주소창에 https://zep.us/play/jlmEVa 만을 입력하면 접속할 수 있으며, ①공항만 입국 시 검역 준수

식품

더보기
“기름이 채소보다 낫다고? 알고 보면 돼지기름” 비타민부터 풍미까지, 돼지기름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
올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한계 없는 능력, 국산 돼지고기 한돈’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총 5회에 걸친 특집 기획기사를 준비했다. “한계 없는 능력으로 증명된 한돈의 진짜 실력”을 메인 테마로, 지난 1편 ‘한돈의 초고속 유통시스템’에 이어 이번 2편은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 돼지기름’편이다. (*특집 기획기사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한돈의 초고속 유통 시스템 ②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 돼지기름 ③단백질 함량 1위 ④면역력 높이는 영양소 함유, ⑤행복호르몬 만드는 트립토판) ■ ‘비타민B1, D, 콜린까지… 돼지기름이 건강한 이유’ 오늘 4월 14일은 흔히 ’블랙데이‘로 칭하며 연인 없는 이들이 짜장면 한 그릇에 마음을 달래는 날로 통한다. 이는 어느새 하나의 유쾌한 ‘식(食)문화’로 자리 잡았다. SNS엔 짜장면 인증샷이 쏟아지고, 중국집은 매출을 기대하게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모른다. 그 짜장면 한 그릇에 깊은 풍미를 더해주는 진짜 주인공이 ‘돼지기름(라드유)’이라는 사실을. 기름이 다 같은 기름이 아니라는 걸 말이다. 국산 돼지고기 한돈에는 맛뿐만 아니라 영양까지 갖춘 건강한 지방 ‘돼지기름’이 있다. 전통적으로 돼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