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국산 우유, 위생 수준 세계 최고 수준 “국내 낙농가, 철저한 위생 및 첨단 시스템으로 최고 품질의 우유 생산”

국산 우유의 위생 등급을 나타내는 지표가 매년 향상되며 세계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도 상반기 원유 검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집유된 원유의 위생 등급 내역에서 체세포 수 1등급의 비율은 71.88%였다. 지난해 대비 0.75% 증가한 수치다. 최근 3년간 체세포 수에서 1등급을 받은 국산 원유 비중은 △2022년 상반기 67.90% △2023년 상반기 71.13% △2024년 상반기 71.88%로 꾸준히 향상하고 있다. 세균 수 1등급의 비율은 99.62%로 전년과 비슷한 수치였다.

  

 이같은 위생 등급은 낙농선진국으로 불리는 덴마크와 동일하며 여타의 해외 나라들과 견주어도 더욱 뛰어난 성적이다. 대한민국 낙농가들은 철저한 위생 관리와 최첨단 생산 시스템을 통해 최고 품질의 우유를 생산하며, 이를 통해 국내 우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국내 낙농업계가 세계적인 수준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신선한 우유를 공급하고 있음을 다양한 홍보사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알리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T_tcp010t006088_l.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7년 04월 17일 오후 13:50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5D Mark I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6 (Windows) F-스톱 : 2.2 노출 시간 : 1/200초 ISO 감도 : 4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0

 

 국내 우유 목장은 단순한 생산 공간을 넘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첨단 낙농 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 낙농가는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통해 젖소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우유의 품질을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생산 단계에서부터 유통까지 철저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우유를 공급하고 있다.

 

  최고 품질의 우유를 위한 3대 핵심 요소: △ 청결한 환경, △ 건강한 젖소, △ 최첨단 시설

  

 국내 낙농업이 세계적인 수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청결한 환경, 건강한 젖소, 그리고 최첨단 시설의 조화에 있다.

   

 청결한 환경 유지: 깨끗한 사육 환경은 우유 품질의 기본이다. 국내 낙농가는 정기적인 소독과 철저한 환경 관리를 통해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 젖소가 최적의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건강한 젖소 관리: 젖소 건강은 곧 우유의 품질을 결정짓는 요소다. 국내 낙농가는 성장 단계별로 최적화된 사료를 공급하고,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젖소의 면역력을 강화하며, 지속적인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최첨단 시설: 데이터 기반으로 젖소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신속한 냉각 시스템, 위생적인 저장 시설 등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최상의 품질인 신선한 우유를 생산하고 있다.

 

  국산 우유는 체세포수 및 세균수 등 엄격한 품질 기준을 통과한 1등급 원유로 생산된다. 그렇기에 소비자는 단순한 가격 비교가 아니라, 신선함과 품질, 안전성을 기준으로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

  

특히, 장기 보관이 가능한 수입산 멸균우유와 달리 국산 신선우유는 우유 본연의 영양소를 최대한 보존하며, 신선한 맛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철저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거친 1등급 원유만을 사용하여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우유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K_pc003914437_l.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0pixel, 세로 751pixel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국내 낙농업은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신선한 우유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 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건강한 젖소, 철저한 품질 관리 시스템으로 생산된 1등급 원유, 그리고 갓 짜낸 듯 신선함을 유지하는 최첨단 기술을 고려한다면 소비자들의 현명한 선택은 국산 우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업

더보기
국내 처음 ‘우량비료’ 지정, 환경친화적 고품질 비료 개발 시동
비료관리법에 따른 우량비료 지정제도 시행(1997년) 이후 처음으로 ‘우량비료’ 1호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8월 14일 자로 「농업환경 및 토양의 보호」 분야에서 생분해성 코팅 물질을 활용한 피복복합비료를 우량비료 1호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이 우량비료 지정 활성화를 위해 2023년 지정신청 전 사전검토 절차를 마련하고 신청 자격을 완화하는 등 ‘우량비료 인정기준’ 고시 전면 개정 노력 끝에 얻은 첫 결실이다. 우량비료란 비료 신규 개발 및 품질개선 연구 촉진을 위해 기존 비료 대비 우수한 비료를 국가가 인정한 비료다. 관련 전문가가 지정신청 서류를 검토․심의해 3개 분야(①농업환경 및 토양의 보호 ②농업 생산성의 증대 ③농업 경쟁력 제고) 별로 농촌진흥청장이 지정·고시한다. 국내 처음 지정된 우량비료는 기존 완효성비료에 사용되는 난분해성 코팅 물질을 토양에서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 코팅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환경부하 경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자체, 농협 등은 우량비료 보급을 촉진하고자 사용 방법 지도와 구매 안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박상원 농자재산업과장은 “이번 우량비료 1호 지정은 환경보전과 지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미트체크’ 서비스 시범 운영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부터 11월까지 축산물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축산물이력제 이행 수준 자율점검 서비스인 ‘미트체크’를 시범 운영한다. ‘미트체크’는 유통업체가 이행 수준 점검을 신청하면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장점검 후 피드백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업체는 전산 신고 현황과 이력번호 표시 상태 등을 스스로 점검한 뒤 이력관리시스템의‘미트체크’메뉴에서 서비스를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신청 업체에 직접 방문해 DNA 동일성 검사 등 관리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취약점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점검 결과는 시스템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 축산물이력관리시스템 바로가기: www.mtrace.go.kr 특히,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업체가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면 재점검을 진행해 일회성 점검이 아닌 지속적인 이력제 관리를 지원한다. ‘미트체크’ 서비스는 축산물 안전성이 강조되는 급식 유통 현장에 우선 적용되며, 추후 지자체 및 교육청과 협력을 통해 확대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미트체크’서비스를 통해 업체의 이력제 이행에 대한 체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소비자가 축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