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정확성 떨어지는 산사태 예측 시스템, 유명 무실

- 최근 10년간 산사태로 인한 피해 여의도 면적 14배, 축구장 5,604개 수준

- 2022년 산사태 1,094건,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

- 2022년 산사태 발생 33%만 예측, 절반은 발생시간 확인 못해

-“산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발생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마련 필요”

산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산림청은 2012년부터 매년 예산을 투입하여 예측 시스템을 연구·운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예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총체적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산림청은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10~15억 원가량 총 150억 원을 투입하여 ‘산사태 예측 시스템(이하 산사태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며, 올해부터는 48시간 이전에 산사태 발생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표1>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은 14일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산사태 발생현황’자료에 따르면 산사태 시스템이 도입됨에도 불구하고 2012년부터 2022년 8월까지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19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표2>

 

 2012년부터 2022년 8월까지 발생한 산사태는 1만 43건으로 산림청은 2016년 이전에 발생한 건수에 대해 관리하지 않았으며, 2016년 157건, 2017년 422건, 2018년 381건, 2019년 1,644건, 2020년 6,175건, 2021년 190건, 2022년 1,074건 등 2022년에는 전년인 2021년 190건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총 피해 면적은 3,923ha로 여의도 면적 14배, 축구장 면적 5,604개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산사태로 인한 복구에 사용된 비용은 총 6,664억 4,600만 원으로 2012년 940억 9,300만 원, 2013년 543억 7,500만 원, 2014년 139억 7,800만 원, 2016년 168억 6,600만 원, 2017년 183억 800만 원, 2018년 163억 6,100만 원, 2019년 429억 3,200만 원, 2020년 3,316억 8,400만 원, 2021년 132억 1,100만 원, 2022년 646억 3,800만 원 등이 발생했다.

 

 

 그런데 시스템은 올해 발생한 산사태를 전체 산사태 중 33%인 360건에 대해서만 예측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산사태 시스템은 강수량이 일정한 상황에서는 산사태를 예보할 수 있으나 국지성이거나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질 경우 측정할 수 없었고, 구체적인 발생 시간조차 알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 산사태 발생지역을 예상하더라도, 해당 지점에서 몇 번이 일어날지 파악도 어려웠으며, 산사태를 예측한 360건 중 163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산사태 발생 시간을 추정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표3>

 

 서삼석 의원은 “산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2012년부터 150억 원을 투입하여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정작 일정한 강수량에 대해서만 예측이 가능하다. 올해 일기예보 정확률인 91%에 비해 현저히 예측 시스템의 적중률이 떨어진다.”라며, “시스템은 산사태 발생 시간을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아, 국민은 언제 대피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워 혼란이 올 수 있다.‘산사태 예측 시스템’이라는 명칭에 예측을 강조한 만큼 정확한 발생 시간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여 산사태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호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표1> 산사태 예측 시스템 투입 예산 현황

(단위: 백만원)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합 계

금액

1,533

1,533

1,046

1,534

1,535

1,537

1,542

1,545

1,550

1,291

1,293

15,939

*출처: 산림청

 

<표2> 2022년 산사태 발생현황

(단위: 건/ha/명/백만원)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잠정)

합계

건수

-

-

-

-

-

-

157

422

381

1,644

6,175

190

1,074

10,043

면적

206

824

491

312

70

-

54

94

56

156

1,343

27

290

2,893

사망

1

43

1

3

-

-

-

2

-

3

9

-

-

19

부상

 

 

 

 

 

 

 

 

 

 

 

 

 

 

복구비

31,872

147,319

94,093

54,375

13,978

-

16,866

18,308

16,361

42,932

331,684

13,211

64,638

666,446

*출처: 산림청

 

<표3> 2022년 산사태 예측 시스템. 발생시간 확인 여부

(단위: 건)

총 예측건

발생 시간 확인

알 수 없음

360

197

163

*출처: 산림청 자료 제공, 서삼석 의원실 가공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산림

더보기
미래 산림과학을 밝히는 지식의 스위치 ‘ON’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산림과학 연구분야별 현안을 해결하고 가시적인 협업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역량강화 소통 프로그램인 산림과학 ‘지식ON 프로젝트’를 이번 6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식ON 프로젝트’는 ‘지식을 켜다/지식이 온다’라는 중의적 의미와 함께, 집단지성을 극대화하고 끊임없이 지식의 순환을 촉진하여 산림과학을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산림생명자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주제를 비롯하여, 산불 등 대형 산림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 기후변화 대응 목조건축 활성화 방안 등 11개로 구성된 산림과학 분야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산림과학 연구 선도를 위하여 농림위성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혁신 방안 등 첨단 과학기술을 연구에 접목하기 위한 역량강화 소통도 진행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식 ON 프로젝트’를 통하여 ▲모든 구성원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수평적 소통 문화를 확산하고, ▲소통을 통해 실효적 성과를 창출하는 협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산림분야의 현안과 미래 이슈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