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2월 가뭄 예·경보 및 국가가뭄통계 발표

- 전국 저수지 저수율 평년 수준 이상 유지
- 기상 전망과 용수 수급 상황 모니터링 등 가뭄상황 지속 관리

정부는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한 2월 가뭄 예·경보와 국가가뭄통계를 발표했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91.8%(533.0㎜)로, 경기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 기상가뭄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6개월(’24.8.4.~’25.2.3.)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

533.0

485.0

553.6

475.3

710.3

458.9

534.7

512.6

628.8

394.6

665.7

692.0

평년값 (㎜)

578.1

550.3

629.5

589.0

710.6

543.7

568.5

594.4

582.2

516.0

620.9

763.9

평년비** (%)

91.8

88.3

88.2

82.2

100.2

84.6

94.2

86.0

108.1

76.9

106.8

92.3

   * 전  국 : 각 지점별 강수량의 총합을 전국 지점수(제주를 제외한 62개)로 나눈 값

  ** 평년비 : 각 지점의 평년비 총합을 전국 지점수로 나누어 구한 값

 

  2025년 2월과 4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고, 3월의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 평년비슷범위(㎜): (2월) 27.5~44.9, (3월) 42.7~58.5, (4월) 70.3~99.3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78.1%로 평년(73.8%) 대비 105.8%로 높고, 지역별로도 100.1%(전북) ~ 111.2%(전남)로 평년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 전국 및 시도별 평균 저수율 현황(‘25.2.3. 기준) >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전체

영서

영동

저수율(%)

78.1

91.4

89.1

91.1

85.7

86.2

91.0

72.2

73.2

73.6

79.9

평년값(%)

73.8

84.8

83.9

84.0

83.6

79.9

83.6

72.1

65.8

73.2

72.3

평년대비(%)

105.8

107.8

106.2

108.5

102.5

107.9

108.9

100.1

111.2

100.5

110.5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의 저수량은 각각 예년*의 127.7%, 106.5% 수준으로, 전국 생활·공업용수는 정상 공급 중이다.

 

    * 댐을 준공한 이후부터 전년(‘24년)까지 관측된 저수량의 평균값

 

  다만, ‘보령댐’*과 ‘영천댐’ 공급지역*은 약한 가뭄(관심) 단계로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보령댐 도수로를 가동하는 등 용수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 (보령댐) 보령, 서산, 당진, 서천, 예산, 청양, 태안, 홍성 / (영천댐) 영천, 포항, 경주

 

<전국 다목적댐 · 용수댐 저수량 현황(’25.2.3. 기준)>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체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백만㎥)

7,987.3

3,745.8

1,889.4

1,406.0

724.8

221.3

213.8

예년값(백만㎥)

6,256.9

2,794.1

1,499.9

1,257.6

540.8

164.4

200.8

예년대비(%)

127.7

134.1

126.0

111.8

134.0

134.6

106.5

 

  일부 섬 지역은 지역 특성으로 인해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25.2.3. 기준)>

 

구 분

비상급수 현황

섬 지역

4개 시·군·구* 25개소(2,751명)

 * 인천 중구‧옹진군, 전남 진도군, 경남 통영시

 

 아울러, 정부는 2월 10일(월)부터 국가승인통계인 가뭄정보통계*(2023년 기준)를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하고, 보다 상세한 내용을 담은 통계집도 각 관계기관 누리집에서 제공한다.

 

    * 관계기관 : 행안부(국립재난안전연구원), 농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산업부(한국수력원자력),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 기상청, 농진청(국립농업과학원)

 

  이번 가뭄정보통계는 2023년* 한 해 동안 발생한 가뭄 특성, 피해 현황, 대응, 복구와 관련된 주요 통계를 수록했으며,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가뭄 정책·사업 수립과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D+1년) 자료 수집·분석 및 부처 의견수렴 → (D+2년) 2월 발간

 

 정부는 앞으로도 관계부처와 함께 가뭄 상황을 매주 점검하면서 가뭄 예‧경보를 매월 발표하고, 가뭄 예방대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과학과 정책의 협력” 양봉산업 위기 해결 나선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한국양봉학회와 함께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제41차 한국양봉학회 하계학술대회’를 열고 있다. ‘양봉, 연구와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과학의 협력’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꿀벌 감소 문제와 이상기상, 꿀벌응애 등 병해충 피해, 수입 벌꿀 증가와 국내 벌꿀 소비 둔화 등 양봉산업과 농가 위기 대응을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국내외 연구자, 정책기관, 산업계, 농가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정책 수립과 연구에 필요한 농업 현장의 의견을 제안하는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첫날(28일) 기조 강연에서는 곽경택 영화감독의 ‘영화 속 꿀벌, 환경과 생명의 메시지’와 정철의 경국대 교수의 ‘최신 양봉 연구 동향’ 발표가 있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산림과학원이 우수 양봉농가와 지자체 담당자, 신규 연구자를 대상으로 최신 양봉 기술을 전수하는 공동 연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꿀벌 우수 품종 육성 및 보급 체계 ∆꿀벌 병해충 특성과 양봉용 의약품 사용 기술 ∆디지털 양봉 관리 기술 ∆벌꿀 생산 우수 밀원수 특성 등을 발표했다.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건강기능식품 수출지원 본격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6일(화)부터 27일(수)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2025 건강기능식품 글로벌 수출전략 세미나 및 1:1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6개국 유통 전문가와 300여 명의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회장 정명수, 건기식협회)와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와 국제적 협력 관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미국, 베트남,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요 수출 대상 국가의 유통사 구매 담당자 10명을 초청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행사 첫날에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34개소가 ‘1:1 수출상담회’에 참여했다. 상담회를 통해 각 업체는 유통사별로 제품 소개 및 수출 애로사항에 대해 구매 담당자와 직접 소통했고, 일부 업체는 별도의 회의까지 연계되는 성과를 거뒀다. 행사 마지막 날에는 ‘수출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세미나에서는 ▲전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을 통한 일본 시장 진출 전략 ▲중국 최대 온라인 유통 플랫폼 티몰*(Tmall)을 활용한 중국 진출 전략 ▲미국 한인 대표 유통

산림

더보기
산림청, 백두대간법 20주년 맞아 성과 및 미래 방향성 공유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법)’ 시행 20주년을 기념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호선 국회의원, 한국환경생태학회,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녹색연합, 백두대간옛길보존회, 백두대간보전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백두대간 산림생태계의 20년간 변화상 △백두대간 보호·산림복원의 성과와 미래비전 △백두대간 보전과 시민사회의 역할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내년에 수립되는 10년 기본계획에 반영해 백두대간 보전 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백두대간법은 2005년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산림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국토를 건전하게 보전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됐다. 산림청은 현재 6개도, 108개 읍·면·동을 포함하는 27만7,645헥타르(ha)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해 보전·관리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백두대간 생태축을 연결·복원하는 사업을 통해 도로로 단절됐던 이화령, 육십령 등 13개소를 복원해 야생동물과 국민들의 지역 간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주변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통행자와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한 특수 건축공법을 활용해 백두대간의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