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고급스러운 꽃 ‘칼라’ 변신 꿈꾼다

- 농촌진흥청 자체 개발한 하얀색 품종, 새로운 이용 가능성 확인 -

 장미, 팬지, 베고니아는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눈으로 감상하는 꽃’이라는 본래 쓰임을 넘어 화장품과 식품업계에서 활약한다는 점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국산 화훼 품종 가운데 결혼식 꽃다발로 많이 이용하는 하얀색(백색) 칼라 품종에 주목, 새로운 이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칼라는 원예학적으로 ‘백색’과 ‘유색’,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한다. 백색 칼라는 습지형으로 주로 늦가을부터 봄까지 꽃을 피우고, 화려한 색을 지닌 유색 칼라는 건식형으로 여름철 꽃이 핀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주로 하얀색 칼라를 개발해 왔는데, 지금까지 조생종 ‘스완’, 무름병*에 강한 ‘새하’ 등 총 11종을 선보였다. 이들 품종은 병 저항성이 우수하고 잎(화포)**의 벌어짐이 없으며 우리나라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장점이 있다.

<조생종 ‘스완’>

   * 독특한 냄새가 나면서 흐물흐물해져서 썩는 식물 병해

  ** 화포란 꽃은 둘러싸고 있는 잎, 꽃 떡잎

 

 연구진은 꽃다발, 꽃꽂이용으로만 쓰이는 하얀색 칼라 품종의 이용 다양화를 위해 자체 개발한 11품종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검정했다. 중국(DFDA***)에서는 이미 하얀색 칼라의 꽃과 줄기가 화장품 원료로 등록돼 있어 우리 품종 또한 이런 가능성을 열어두고 연구에 착수했다.

 

  * 폴리페놀은 항산화 물질로 인체 내 노화나 손상을 막아줌

 ** 항산화 활성은 신체의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 산소를 억제해 노화를 막아줌

*** DFDA(China Food & Drug Administration)은 중국 국무원 산하기관으로 우리나라 식약처와 유사

  

 연구 결과,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하얀색 칼라 꽃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g당 219.82~370.55mg 정도로 장미, 팬지, 베고니아보다 최대 7배 높았다. 노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활성* 또한 국내에서 육성한 식용 장미보다 최대 10배가량 높았다.

 * 항산화 활성은 대표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간단하게 측정. 백색 칼라 11종의 평균 DPPH는 IC50 43.14~147.81㎍/㎖, ABTS+는 IC50 43.17~172.45㎍/㎖였음

 

 품종에 따라서는 총 폴리페놀과 항산화 활성 모두 ‘스완’, ‘화이트에그’, ‘실키화이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우리 칼라 품종이 화장품 등의 원료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한 첫 연구 사례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이영란 과장은 “전통적으로 꽃은 감상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여겨졌지만, 앞으로는 화훼를 이용한 기능성, 경관 화훼 등을 통해 산업을 확대하고자 한다.”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꽃의 이용이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미래 축산 기술 공유의 장 마련 …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의 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며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으로 구분된다.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총 두 개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용화 기술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해 확산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참가 대상은 스마트 축산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단체이며 알고리즘 개발은 기업·단체 및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다. 특히 공익적 관점의 환경·사회·투명(ESG) 주제에는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적극 발굴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를 진행해 현장의 실제 적용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오는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참가 신청을 받아 1차 서면 심사,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7개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산림청, 5월 이달의 임산물로 ‘어수리’ 선정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5월 이달의 임산물로 ‘어수리’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어수리는 예로부터 임금님의 수라상에 오를 정도로 귀한 산나물로 여겨진 임산물이다. 특히 특유의 향긋하고 진한 풍미와 함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해 봄철 원기 회복과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임산물로 손꼽힌다. 어수리 뿌리 추출물은 염증 유발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을 도와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또한 뇌 신경 보호와 우울 증상 완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 포함돼 있어 건강식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 출처 : 숲이 주는 건강한 선물, 숲푸드의 과학적인 효능·효과(산림청, 2025) 어수리는 주로 어린순을 데쳐 나물무침으로 먹거나 쌈채소로 활용되며, 장아찌나 전, 볶음 요리 등으로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쌉쌀하면서도 향긋한 맛이 일품으로 봄철 입맛을 잃기 쉬운 시기에 제격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제철 맞은 우리 숲의 보물 ‘임산물’ 소비 촉진에 동참해 달라”며, “국민들이 우리 임산물을 더 가깝게 느끼고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