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8.8℃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9℃
  • 구름많음대전 27.2℃
  • 구름많음대구 26.8℃
  • 구름많음울산 26.6℃
  • 구름조금광주 27.7℃
  • 구름많음부산 26.0℃
  • 흐림고창 27.4℃
  • 구름많음제주 24.7℃
  • 맑음강화 27.5℃
  • 구름조금보은 24.5℃
  • 구름많음금산 26.3℃
  • 흐림강진군 24.6℃
  • 구름많음경주시 27.2℃
  • 흐림거제 23.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삼겹살 외식 1인분 2만원 중 실제 고깃값은 3,500원에 불과

삼겹살 소비자가격은 오히려 하락...외식비엔 각종 제반 비용 모두 포함

돼지고기 소비자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9.9% 하락

삼겹살 외식 가격 상승원인은 인건비, 임대료, 전기료 등 제반비용 상승 때문

 

 외식비에서 삼겹살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17%에 불과

최근 한국소비자원에서 서울지역 8개 메뉴에 대한 5월 외식비 정보를 발표함에 따라, 이에 근거하여 주요 언론에서 삼겹살 외식비 증가에 대한 보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5월 기준 서울 지역 음식점 삼겹살 1인분(200g) 평균 가격은 2만 83원으로 보고됩니다.

 

삼겹살 외식비 중 실제 삼겹살 가격이 차지하는 비율은 17% 내외에 불과합니다. 나머지 83%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모두 기타 제반비용입니다. 인건비, 임대료, 전기료 등 각종 비용 상승이 삼겹살 1인분 가격에 포함되면서 삼겹살 외식비 상승으로 비춰진 셈입니다. 이를 두고 돼지고기 도매가 상승을 5월 삼겹살 외식비 인상의 원인으로 꼽는 것은 무리한 해석으로 판단됩니다. [표1 참고]

 

구 분

금 액

비 율

삼겹 외식비*

(a)

20,083원/200g

100%

삼겹 도매가격

(b)

3,500원/200g

17.4%

기타 제반비용**

(a-b)

16,583원/200g

82.6%

* 한국소비자원 발표가격(20,083원/200g) 기준
** 제반비용 : 인건비, 임대료, 전기료, 채소, 기타 양념비 등

 

 돼지고기 소비자가격은 오히려 하락

삼겹살 외식비 상승은 삼겹살 가격 상승 때문이 아니라 다른 제반비용이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마트, 정육점 등의 판매가격을 나타내는 돼지고기 소비자가격 역시 전년보다 하락했습니다. 금년 5월 돼지고기 소비자가격은 100g 당 2,377원으로 이는 전년 동월 대비 9.9%(-262원/kg) 떨어진 수치입니다.

 

5월 돼지고기 도매가격 역시 kg당 5,278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 하락하였습니다. 따라서 기사에서 인용된 돼지고기 1kg의 평균 도매가격 5,885원은 6.10일자 기준으로, 5월 삼겹살 외식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돼지고기 소비자 물가지수 역시 하락

또한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에서도 돼지고기는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돼지고기 소비자물가지수는 ′24년 5월 115.96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2%(′23. 5월 : 122.38)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농축수산물의 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9.71% 상승한 것과 비교해보면 돼지고기는 예외적으로 가격이 하락한 품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삼겹살 외식비는 상승률 하위 품목

뿐만 아니라 통계청 발표자료에 따르면 삼겹살 외식비는 조사대상 39개 품목 중 31번째로 상승률이 낮은 품목에 해당합니다. 이에 ‘금겹살’과 같은 표현은 마치 돼지고기 가격 급등이 원인이 되어 삼겹살 외식비가 오른 것으로 소비자들의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이 여파로 소비 심리가 위축될까 우려스럽습니다.

 

삼겹살 외식비는 다른 외식비에 비해 매우 낮은 상승률은 보이고 있는 점, 외식비와 달리 소비자물가지수와 돼지고기 경락가격은 전년 대비 하락한 점을 미루어 보아 ‘금겹살’과 같은 표현보다는 현 고물가 시대에 삼겹살이 그나마 서민음식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소비위축, 생산비 상승으로 한돈산업 위기 상황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가격은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봄부터 여름까지 상승하다, 추석 이후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매년 반복되는 일반적인 현상이며, 현재 특정한 이슈로 인해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한 것이 아닙니다. 삼겹살 외식비 고공행진이라는 보도와 달리, 오히려 한돈 농가들은 사료비, 전기료, 인건비 등 생산비 증가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소비 하락, 경영 부담 등 사면초가에 놓인 한돈산업 및 국내 축산업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언론의 정확하고 신중한 보도를 요청 드립니다. 아울러 한돈자조금은 한돈 농가와 함께 고품질의 한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무더위 집 나간 입맛 찾아요”…비빔면부터 냉면까지, 여름면 인기
여름 무더위의 열기를 식혀줄 시원한 음식이 인기를 끄는 가운데, 최근 면 요리 가격이 급등하는 ‘누들플레이션’ 현상이 이어지면서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여름면 제품이 조명을 받고 있다. ◆ 매콤새콤하게 입맛 돋우는 ‘별미’ 비빔면…팔도·농심·하림·오뚜기, 치열한 각축전 비빔면은 대표적인 여름면 격전지 중 하나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비빔면 시장 규모는 2015년 757억원에서 지난해 1800억 원을 기록하며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여름부터는 농심, 하림 등 신흥강자들이 선전하면서 비빔면 시장의 순위가 큰 격변기를 맞고 있다. 경쟁이 치열해지며 주요 비빔면 생산 기업들은 신제품을 넘어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림은 지난해 3월 ‘더미식 비빔면’을 출시하며 비빔면 경쟁에 뛰어들었다. 당시 공개했던 ‘아는 맛 보다 맛있다’는 키메시지처럼 하림은 인지도를 착실히 쌓고 있다. 지난해 7~8월 대형마트 3사(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기준 매출액 규모 3위에 올랐다. 최근에는 비빔면 제품군을 확대하여 더미식 비빔면 용기면을 선보이기도 했다. 농심은 지난 4월 말 용기면 ‘배홍동큰사발면’을 출시했다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