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KT DS, 벡트라와 손잡고 ‘사이버 위험 탐지•대응 솔루션’ 출시

KT그룹의 IT 서비스 전문기업, KT DS(대표 김기철, www.ktds.com)가 미국 보안회사 벡트라 네트웍스社(Vectra Networks, 한국 대표 최홍준)와 공식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고, 양사의 빅데이터 기술이 결합된 ‘사이버 위험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벡트라 네트웍스는 지난 2011년 미국에서 설립된 보안회사로, 지난해부터 머신러닝 기반의 능동 보안침해 탐지솔루션 ‘벡트라’를 국내에 선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 보잉 등 글로벌 기업들이 사용 중인 ‘벡트라’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의한 실시간 자동 분석으로 외부 침입은 물론, 내부의 정보유출 시도 등 이상징후까지 탐지해, 보안관리자가 위험요소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특화된 보안 솔루션이다. 

양사가 공동 개발한 ‘사이버 위험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은 벡트라 솔루션에 ‘대응 기능’이 추가됐다. 즉, 벡트라 솔루션이 탐지하는 이상징후 중 위험도가 높은 네트워크 세션을 자동 차단하고, 네트워크 패킷을 저장/분석하는 포렌식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 지능화 되는 외부의 보안 위협에 대한 탐지 기술은 지속 성장하고 있는데 비해, 이미 조직 내부에 침투한 악성코드의 위험 행위에 대한 탐지 및 분석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이다. 

때문에 ‘사이버 위험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은 무심코 지나치거나 알려지지 않은 내부의 이상징후 확산을 신속히 알리고, 우선순위가 지정된 리스크 관리 기능까지 제공해, 사이버 위험의 탐지와 대응에 있어 최적의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장재호 KT DS 경영서비스본부장은 “이번 파트너 계약과 솔루션 공동개발을 통해 데이터 주도의 정보보안 의사결정 툴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KT DS는 자체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사이버 위험 탐지/대응 솔루션을 시작으로 비즈니스 도메인별 특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선보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KT DS의 사이버 위험 탐지 및 대응 솔루션과 벡트라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홈페이지(www.ktds.co.kr)를 통해 가능하다. 

※ 사진 설명
KT그룹의 IT 서비스 전문기업, KT DS(대표 김기철, www.ktds.com)가 미국 보안회사 벡트라 네트웍스社(Vectra Networks, 한국 대표 최홍준)와 공식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고, 양사의 빅데이터 기술이 결합된 ‘사이버 위험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왼쪽) 장재호 KT DS 경영서비스본부장과 최홍준 벡트라 한국 대표가 공식 파트너 체결을 기념해 사진 촬영한 모습.

※ 회사 소개
1)케이티디에스(KT DS)
 KT DS는 2008년 8월, KT로부터 분사된 KT그룹의 IT서비스 전문기업으로, 통신과 미디어, 금융 등 그룹의 핵심사업 분야에 IT컨설팅과 시스템 통합 및 운영(SI/SM), 자산 공급 등을 서비스한다. 2015년 5월, 오빅스(OBICS, Open Source, Big Data, IoT, Cloud, Security) 분야의 대외사업 진출을 발표했으며, 국내 최다 오픈소스 도입 및 전환 경험을 보유, 올바른 오픈소스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빅데이터 분야에 있어, 금융권 빅데이터 구축 사업과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 수행 등의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2)벡트라 네트웍스(Vectra Networks)
 지난 2011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코슬라 벤처 및 인텔 캐피탈, 유노스이노베이션 펀드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2015년 가트너 ‘보안 인텔리전스’ 분야 쿨 벤더(Cool Vendors)로 선정됐다. 최신 보안 트렌드를 리드하고 있는 머신러닝 및 데이터 사이언스 기술을 이용해 지능화 되고 장기화된 악성코드/봇넷/랜섬웨어 등의 침입 후 자료 탈취 시도와 내부에서의 정보 유출 시도 등의 위협 행위를 자동으로 탐지해 주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 용어 설명
1)알고리즘
 어떤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단계적 집합을 의미하며, 연산, 데이터 진행 또는 자동화된 추론을 수행한다. 

2)세션
 네트워크 분야에서 반영구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정보 교환이며, 둘 이상의 통신 장치나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3)포렌식
 전자적 증거물(네트워크 패킷) 등을 사법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분석/보고서를 작성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5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인삼, 약용작물’ 집중호우 피해 치명적…예방 철저
농촌진흥청은 최근 장마철마다 자주 나타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삼과 약용작물 재배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철저한 정비와 병 예방을 당부했다. 우리나라는 6~8월에 전체 강수량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비가 집중해서 내린다. 장마 기간에 국지성 폭우가 내리면 인삼과 약용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재배지가 유실되는 등의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인삼은 습기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 장기간 비가 내리면 지상부가 시들고 잎이 일찍 떨어진다. 뿌리의 경우 털이 탈락하거나 전체적으로 부패해 싹이 나지 않을 수 있다. 뿌리를 약재로 쓰는 황기, 지황, 천궁도 침수에 취약해 물 빠짐이 좋지 않은 밭에 오래 두면 시듦 증상과 뿌리 부패 관련 병 등이 확산하게 된다. 특히, 침수 피해를 본 식물체는 잎 표면에 앙금과 오물이 쌓여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햇빛에 노출되면 잎이 데쳐진 듯 물러져 시듦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 번 물에 잠긴 인삼과 약용작물은 회복이 어려우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가에서는 재배지 물길을 정비하고 자동 양수기를 설치해 대비한다. 인삼은 6시간 이상 침수되면 뿌리 부패 정도를 판단해 조기 수확을 고려해야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편하게 집보신하세요” 하림 더미식, 여름철 보양식 삼계탕 2종 출시
올 여름 역대급 더위가 예고된 가운데,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림이 국물요리 제품을 앞세워 여름철 보양식 시장 공략에 나섰다.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간편식 브랜드 ‘The미식(더미식)’은 여름 보양식의 대표 메뉴인 삼계탕 2종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신제품은 ‘삼계탕’과 ‘닭다리 삼계탕’으로 100% 국내산 신선한 닭을 사용했으며, 더미식만의 차별화된 조리 기술로 맛을 한층 끌어올렸다. 끓이기 전 닭고기를 한 번 쪄내는 ‘자숙’ 공정을 통해 기름기를 제거하고, 깔끔하고 담백한 국물 맛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삼계탕’은 45호 닭 한 마리를 통째로 사용했으며, 얼리지 않은 냉장육으로 닭고기 식감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생강, 양파, 마늘 등을 넣고 정성껏 4시간 이상 고아낸 육수에 국내산 수삼, 밤, 잣, 은행, 찹쌀 등을 더해 깊은 풍미와 풍부한 식감을 살렸다. ‘닭다리 삼계탕’은 큼직한 통닭다리만을 사용해 한 마리 삼계탕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삼계탕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아낸 국물에 찹쌀을 듬뿍 넣어 구수한 맛을 더했다. 더미식 삼계탕 2종은 상온 파우치 형태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며, 각 900g,

산림

더보기
동부산림청,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동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여름철 산간 계곡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림오염 및 훼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기간(2025. 7. 1.∼ 8. 31.)”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점단속 대상은 산림 내 취사, 오물·쓰레기 투기, 무허가 물놀이 시설 등 불법 시설물 설치, 산림 무단점유 등 여름철 다수 발생하는 산림 내 불법행위로 동부지방산림청 및 소속 7개 국유림관리소 산림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단속반을 편성하고 효과적인 단속을 위하여 산림 드론도 투입할 계획이다. 단속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산림 내 취사, 흡연 등에 대해서는 적발 즉시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한편, 동부지방산림청은 지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을 실시하여 임산물 불법채취 등 29명을 입건하였으며, 110명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산림 내 불법행위로 인해 산을 찾는 휴양객들이 즐거움을 잊지 않도록 단속을 엄중히 실시하여 산림피해를 최소화하겠다.”라며, “올바른 산림보호 문화 정착을 위해 국민들의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