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17.0℃
  • 맑음강릉 17.6℃
  • 맑음서울 18.0℃
  • 구름조금대전 18.0℃
  • 구름조금대구 18.7℃
  • 구름조금울산 12.1℃
  • 구름많음광주 17.5℃
  • 구름조금부산 13.2℃
  • 구름많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4.9℃
  • 구름조금강화 12.0℃
  • 구름조금보은 16.4℃
  • 구름조금금산 18.1℃
  • 구름많음강진군 14.7℃
  • 맑음경주시 14.8℃
  • 맑음거제 13.5℃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자동차 등록대수 2016년 말, 2천 2백만 대 육박

- 전기차는 1만대 돌파, 5년 만에 31배 증가

국토교통부(장관:강호인)는 ’16년 12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15년도보다 81만 3천 대(3.9%) 늘어난 21,803,351대로 집계되었음을 밝혔다. 

이처럼 자동차 등록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다양한 신규 차량이 출시되었고, 자동차 내수 진작을 위한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가 지난해 6월 말까지 시행되어, 자동차 등록대수가 지속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016만 대(92.5%)이며, 수입차는 164만 대(7.5%)로서, 수입차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친환경차(Green Car)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의 등록대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는 2011년 말에 344대에 불과했으나, 2016년 말에는 10,855대로 등록대수가 5년 만에 약 31배 증가하였고, 이중 절반(5,629대)이 제주도에 등록되어있다. 전기차 보급확대에 힘입어 전체등록차량 중 친환경차의 비중이 1%를 넘어섰다.
 
※ 정부는 친환경 교통수단인 전기차를 ’20년까지 신차판매의 30%(연간 48만대)를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 대체하고, 주유소의 25% 수준으로 충전인프라 확충 정책을 펴기로 결정함(환경부 보도자료,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발표, ‘16.6.3)

사회적 측면에서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고령자·청년층·여성층의 소유자 변화 추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인구 고령화 추이에 따라 만 65세 이상의 차량 소유자가 꾸준히 증가하여 전체등록차량의 10%에 육박하게 되었다. 또한, 여성권익의 신장에 따라 여성소유차량수도 전체의 21.2%로 463만대를 넘어섰다. 

청년층(만 20~29세)의 경우 차량소유가 전체차량소유의 2.6%에 머물고 있는데, 이는 취업난에 따라 차량 보유 시작나이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령자, 청년층, 여성층 자동차 등록현황 
고령자, 청년층, 여성층 자동차 등록현황
구 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전체대수16,42816,79417,32517,94118,43718,87019,40120,11820,99021,803
고령자 (비율)1,129 (6.9%)1,230 (7.3%)1,304 (7.5%)1,266 (7.1%)1,411 (7.7%)1,546 (8.2%)1,676 (8.6%)1,807 (9.0%)1,927 (9.2%)2,124 (9.7%)
청년층 (비율)713 (4.3%)669 (4.0%)626 (3.6%)605 (3.4%)561 (3.0%)519 (2.8%)500 (2.6%)501 (2.5%)522 (2.5%)557 (2.6%)
여성층 (비율)3,151 (19.2%)3,292 (19.6%)3,465 (20.0%)3,577 (19.9%)3,731 (20.2%)3,850 (20.4%)3,988 (20.6%)4,175 (20.8%)4,396 (20.9%)4,633 (21.2%)

* 고령자 : 만 65세 이상(UN에서 정한 기준), 청년층 : 만 20세~29세, 여성층은 대표소유자 포함 
 
경제적 측면에서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경차(승용경형)와 차령이 10년 초과한 차량의 대수의 증가 추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경차의 등록은 10년 사이에 약 2.4배 증가하였으며, 자동차의 내구성과 품질 향상으로 사용연한이 늘어남에 따라 차령 10년 초과 차량의 대수도 꾸준히 늘어, 2016년 전체차량의 30%를 넘는 672만대에 이르고 있다. 

경차 및 차령 10년 초과 차량 등록현황
경차 및 차령 10년 초과 차량 등록현황
구 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전체대수16,42816,79417,32517,94118,43718,87019,40120,11820,99021,803
경차 (비율)768 (4.7%)936 (5.6%)1,024 (5.9%)1,136 (6.3%)1,262 (6.8%)1,392 (7.4%)1,495 (7.7%)1,614 (8.0%)1,723 (8.2%)1,818 (8.3%)
차령 10년 초과 차량 (비율)4,635 (28.2%)4,498 (26.8%)4,768 (27.5%)5,348 (29.8%)5,692 (30.9%)6,237 (33.1%)6,360 (32.8%)6,493 (32.3%)6,653 (31.7%)6,726 (30.8%)


자동차등록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신규등록 : 0.6% 감소(2015년 대비), 국산차 0.5%, 수입차 -6.7%] 

’16년 자동차 신규등록대수는 183만 5천 대로 ’15년 184만 7천 대 보다 11,253대가 감소하였다. 

국산차는 156만 2천 대(85.1%)이며 수입차는 26만 9천 대(14.7%)로, 수입차의 경우 ’15년 28만 8천 대(15.6%)보다 1만 9천 대(6.7%)가 줄었다. 

[자동차 이전등록 : 3.1% 증가(2015년 대비), 사업자 거래 61.6%]

’16년 자동차 이전등록건수는 378만 건으로 ’15년 366만 6천 건 보다 113,442건(3.1%)이 증가하였다. 

사업자 거래는 232만 7천 건(61.6%)이며 개인 간 거래는 137만 4천 건(36.4%)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자동차 말소등록 : 1.7% 증가(2015년 대비, 16,055대 증가)]

’16년 말소등록된 자동차는 102만 2천 대로 ’15년 97만 5천 대 보다 4만 7천 대(4.9%) 증가하였다. 

국토교통부 김채규 자동차관리관은 지난해 자동차등록대수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금년 상반기 중에 2천 2백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친환경 자동차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앞으로 고령인구 증가 등에 따라 교통안전대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개화기 과수 저온 피해 경감 ‘스마트 과원’ 기술 한자리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4월 10일 오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대구 군위)에서 과수 안정 생산을 위한 저온 피해 경감시설 현장 연시회를 열었다. 이번 연시회에서는 과수 개화기 저온 피해 대응 기술을 소개하고, 미세살수장치, 통로형 온풍기 등 다양한 저온 피해 경감시설의 특징과 활용법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는 농촌진흥청 관계자,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 담당자, 지역 과수 재배 농업인 등 70여 명이 참석해 다양한 기술을 직접 확인하고 농가 확산 방안을 모색했다. 미세살수장치는 과수원 내부 온도가 영하에 근접할 때 물을 미세하게 뿌려 꽃눈(꽃봉오리) 표면에 얼음층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물이 얼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잠열)로 꽃눈의 온도가 유지되고, 얼음층이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막아주는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결실률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자동 온도 감지 기능이 탑재돼 있어 임계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물이 분사되고, 과수원 안 온도가 오르면 자동으로 멈추기 때문에 관리가 쉽다. 통로형 온풍기는 시설 안에서 사용하던 대용량 농업용 온풍기를 노지 과수원에 설치, 가동할 수 있다. 나무가 심어진 줄에 따뜻한 바람을 내보내는 통로(농업용 덕트)를

축산

더보기
농촌진흥청, 맛·풍미 우수한 흑돼지 ‘난축맛돈’ 산업화 확대 논의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 김진형 축산자원개발부장은 4월 9일 ‘난축맛돈’ 가공·유통 전문업체 제주드림포크를 방문해,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난축맛돈’은 국립축산과학원이 유전체 육종 기술을 활용해 2013년에 개발한 흑돼지 품종이다. 제주재래흑돼지의 우수한 육질 특성, 랜드레이스 품종의 생산성과 성장 능력을 접목했다. 2023년에는 국제 식량농업기구(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등재되며 품종으로 공식 인정 받았다. 이날 김 부장은 ‘난축맛돈’의 사양관리, 유통 체계, 제품화 현황을 살펴본 뒤, 해썹(HACCP,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인증 자동화 설비를 갖춘 가공시설을 둘러봤다. 제주드림포크는 ‘난축맛돈’ 전량 매입 시스템과 고정 단가제를 도입해 농가의 수익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고급 외식업체 납품, 신제품 개발 등 부가가치 창출에도 힘쓰고 있다. 대표 제품으로는 돈마호크(등심 부위), 쫄데기살(앞다리 부위), 티돈스테이크(등뼈 부위), 숄더랙(앞다리 어깨 부위) 등이 있으며, 부위별 맞춤 상품화 전략으로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상표(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어 다음날인 10일, 난지축산연구센터를 방문해 김

식품

더보기
봄나들이 필수 아이템으로 떠오른 ‘한돈’ 도시락, 간편식은 물론 다양한 메뉴 활용에 만점
햇살 좋은 4월! 벚꽃 시즌을 맞아 전국의 벚꽃 명소는 물론 공원이나 캠핑장 등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도시락을 준비하는 소비자가 많다. 요즘은 단순한 한 끼에서 벗어나 건강하고 든든함까지 챙기는 도시락이 주목받고 있다. SNS 인증샷에 어울리는 감성 도시락은 물론, 영양과 포만감까지 고려한 고단백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 건강과 맛 둘 다 챙기는 나들이 도시락엔 한돈이 딱이야! 이런 흐름 속에서 주목받는 식재료가 바로 국산 돼지고기 ‘한돈’이다. 한돈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부위별 활용도가 폭넓어 다양한 나들이 도시락에 적합하다. 특히 한돈 안심, 앞다릿살, 등심 등 저지방·고단백 부위는 샐러드, 샌드위치, 주먹밥 등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어 건강을 챙기고 싶은 소비자에게 큰 인기 만점이다. 돼지고기에는 비타민 B1이 타 육류보다 10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다. 흔히 비타민 B1이 부족하면 피곤하고 염증도 자주 발생하는데, 이때 돼지고기의 비타민 B1이 체내 에너지로 쓰이는 주요 영양소인 당질 분해에 도움을 주고 피로 해소에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철분, 아연, 류신, 라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이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