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전국 건축물 총 7,054,733동 / 35억7천3백만㎡

- 전년대비 수도권 연면적 4.1% 증가, 지방은 3.8% 증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말 전국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67,820동(1.0%) 증가한 7,054,733동, 연면적은 135,713천㎡*(3.9%) 증가한 3,573,625천㎡라고 밝혔다.
*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569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3,112천㎡(4.1%) 증가한 1,611,905천㎡이고, 지방은 72,601천㎡(3.8%) 증가한 1,961,720천㎡이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이 2.7% 증가한 1,699,314천㎡(47.6%)으로 가장 컸고, 상업용은 5.9% 증가한 761,415천㎡(21.3%), 공업용은 5.4% 증가한 385,174천㎡(10.8%), 문교·사회용은 4.0% 증가한 321,401천㎡(9.0%)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주거용이 2.5% 증가한 791,347천㎡(49.1%), 상업용은 4.4% 증가한 372,918천㎡(23.1%), 공업용은 9.6% 증가한 141,329천㎡(8.8%), 문교·사회용은 3.3% 증가한 141,666천㎡(8.8%) 순이며, 지방 또한 주거용이 2.9% 증가한 907,967천㎡(46.3%), 상업용은 7.4% 증가한 388,496천㎡(19.8%), 공업용은 3.1% 증가한 243,844천㎡(12.4%), 문교·사회용은 4.5% 증가한 179,734천㎡(9.2%) 순이다. 
 
세부 용도별 건축물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040,105천㎡(61.2%)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2,550천㎡(19.6%), 다가구주택 158,750천㎡(9.3%), 다세대주택 116,501천㎡(6.9%), 연립주택 39,633천㎡(2.3%)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518,336천㎡(65.5%)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86,673천㎡(11.0%), 다세대주택 86,639천㎡(10.9%), 다가구주택 73,195천㎡(9.2%), 연립주택 22,286천㎡(2.8%) 순이며, 지방 또한 아파트가 521,768천㎡(57.5%)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5,876천㎡(27.1%), 다가구주택 85,554천㎡(9.4%), 다세대주택 29,862천㎡(3.3%), 연립주택 17,347천㎡(1.9%)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8.2%), 제주(39.1%), 강원(36.0%) 순이고, 다가구주택은 대전(15.9%), 대구(14.6%), 울산(12.3%) 순이며, 아파트는 세종(76.4%), 광주(73.2%), 부산(69.1%), 연립주택은 제주(9.3%), 서울(3.7%), 강원(2.8%), 다세대주택은 서울(13.9%), 인천(13.2%), 제주(9.8%) 순이다. 

[2]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44,590천㎡(32.1%)로 가장 컸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15,916천㎡(28.4%), 업무시설 118,692천㎡(15.6%), 판매시설 57,578천㎡(7.6%)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09,949천㎡(29.5%)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97,489천㎡(26.1%), 업무시설 79,747천㎡(21.4%), 판매시설 33,452천㎡(9.0%) 순이며, 지방 또한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34,641천㎡(34.7%)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18,426천㎡(30.5%), 업무시설 38,944천㎡(10.0%), 판매시설 24,126천㎡(6.2%)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전북(35.9%), 충북(35.3%), 세종(34.6%) 순이고,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39.8%), 전북(37.4%), 충북(37.1%) 순이며, 판매시설은 서울(10.5%), 대전(8.9%), 부산(8.6%), 업무시설은 서울(30.9%), 세종(17.6%), 대구(17.2%) 순이다. 
 
건축물 노후도 및 멸실현황

준공 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 2,543,217동으로 전체(7,054,733동)의 36.0%이다 

지역별 건축물은 수도권이 25.4%, 지방은 40.1%로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되었다. 

용도별 노후 건축물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이 30.1%로 가장 많고, 상업용(23.1%), 문교·사회용(15.1%), 공업용(8.2%) 순이며, 지방 또한 주거용이 50.3%로 가장 많고, 상업용(24.3%), 문교·사회용(18.3%), 공업용(13.5%) 순이다. 

2016년 멸실된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5.1% 증가한 56,341동, 연면적은 16.6% 증가한 14,255천㎡ 이다. 
 
규모별, 소유주체별 현황

우리나라의 최고층 건축물1)은 부산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80층)”이며, 50층 이상 초고층 건축물은 전년대비 8개동2)이 증가한 102개동이다. 
 
1) 최고층 건축물 (지상층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두산위브더제니스 101동 : 지상층수 80층 / 높이 301m 

※ 가장 높은 건축물 (높이 m)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북아무역타워 : 지상층수 68층 / 높이 305m 

2) 2016년 준공된 초고층 건축물(8개동) 
- 일산 요진 와이시티(59층 3동, 58층 1동, 57층 1동, 55층 1동), 
서울 래미안 첼리투스(56층 1동), 인천 롯데캐슬 캠퍼스타운(55층 1동)

현재 건설 중인 초고층 건축물은 서울 제2롯데월드(123층), 부산 롯데타운(107층),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101층) 등이다.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371천동(62.0%), 2~4층 건축물 2,316천동(32.8%), 5층 건축물 161천동(2.3%) 순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백㎡미만 건축물 3,253천동(46.1%), 1백~2백㎡미만 건축물 1,578천동(22.4%), 3백~5백㎡미만 건축물 736천동(10.4%)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636천동(79.9%), 법인 소유 건축물 434천동(6.2%), 국·공유 소유 건축물 185천동(2.6%) 순이다. 
 
인구 및 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대비 2.41㎡ 증가(66.72㎡→69.13㎡) 하였으며, 수도권은 2.18㎡ 증가(60.81㎡→62.99㎡)하고, 지방은 2.66㎡ 증가(72.49㎡→75.15㎡)하였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경북(40.69㎡), 세종(38.00㎡), 충북(35.88㎡)순이고, 상업용은 제주(19.23㎡), 강원(18.43㎡), 서울(16.81㎡)순이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전년대비 0.2% 증가한 3.6% (3,437백만㎡→3,573백만㎡)이며, 지역별로 수도권은 0.5% 증가한 13.6%, 지방은 0.1% 증가한 2.2%로 확인되었다. 

시도별 토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90.2%로 가장 크며, 다음은 부산(29.2%), 대전(19.6%), 광주(19.3%) 순이다. 

※ 위 자료에서 분류하는 통계용 건축물의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 상업용 : 근린생활, 자동차관련, 판매, 운수, 숙박, 업무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학교,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시설 : 공공업무시설,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의 작성기준은 2016.12.31일 자료입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