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2 고위급 회의 현장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가 19일 오전 3시(현지시간) ‘마라케시 행동선언문’을 채택하며 막을 내렸다.
지난 11월 4일 파리협정이 발효된 이후 처음 개최된 이번 총회는 7일부터 18일까지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2주간의 일정으로 열렸다. 197개 당사국을 포함해 기후변화 관련 연구기관, 산업계, 시민사회단체 등 2만 5천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COP22 회의는 파리협정의 실제적 이행 기반을 준비해 나간다는 차원에서 기후 행동 총회(COP for Action)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총회 기간 중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열린 고위급회의에서 각국 주요 인사들이 파리협정 발효에 따른 이행을 강조하고 노력을 요청하는 가운데 북한의 참여가 주목을 받았다.
북한 대표로 참석한 최명남 주제네바 차석대사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8% 무조건적 감축, 선진국들의 지원을 받을 경우 최대 40% 감축하겠다는 북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소개하고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와 같이 비조건부(8%)와 조건부(40%) 감축 목표 차이가 큰 것은 북한이 재정 및 기술지원과 능력 배양이 필요함을 국제사회에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 차석대사는 ‘김정은 국무위원회 위원장의 지도 아래 최근 수년간 산림복구운동(forest restoration campaign)에 진전이 있었다’고 언급하며 산림을 기후변화 대응의 주요 수단으로 재차 강조했다.
지난해 파리 총회에 북한 대표로 참석했던 이수영 외무상은 김정은 위원장이 선포한 ‘산림복구전투(war on deforestation)’를 통해 향후 10년간 63억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는 구체적인 계획과 수치를 밝혀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이번 총회에 참석한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송민경 연구사는 최 차석대사의 발언에 대하여 “북한이 산림복구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의지를 다시 한 번 표명하긴 했으나, 지난해 제21차 기후총회에서의 발언 내용과 비교해 볼 때 다소 축소된 수준의 일반적인 발언으로 볼 수 있다”면서, 지난해 파리에서 발표했던 계획의 비현실성과 그 후 1년간 추진했던 북한 내 산림복구 사업의 어려운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했다.
선진국과 개도국의 구분 없이 모든 당사국이 책임을 가지는 파리협정 하에, 북한 산림복구는 북한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지원하고 나아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대응 공동노력에 기여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 행동’으로써의 북한 산림복구에 필요한 기초 과학기술 및 정책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