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휴양림

우리나라 대나무 종류별 자원량, 국내 최초 발표!

- 국내 대나무 자원 총 24천ha로 여의도면적 83배 분포 확인 -
- 공간정보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자원활용 기반 마련 -

대나무죽종분포도
죽종혼효(왕대+솜대)


솜대림

왕대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83배에 달하는 24,111헥타르(ha)라고 밝혔다.

  이번 분석 결과는 국립산림과학원이 대나무의 자원화를 위해 산림청 산림자원과의 협력 지원 아래 국내 최초로 주요 대나무 종류의 생육공간범위를 추출하고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추정한 것이다. 

  아울러 세계 최초로 대나무 측정단위를 표준화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중량)을 산출ㆍ평가, 분포 특성에 따른 대나무 자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산림경영단위(0.5ha)의 공간정보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70년대까지 활성화되었던 대나무 산업은 80년대 초부터 대량생산된 공산품들이 대나무 제품을 대체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이와 함께 대나무 자원들도 방치되어왔다.

  이번 연구결과로 대나무의 지역별, 산림생산력지수별, 분포유형 구분 등 다양한 생육특성별 자원량(면적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의 수치화가 가능해져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대나무 자원의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 24,111ha 중 산죽(조릿대) 등 기타 죽종을 제외한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은 솜대(淡竹), 왕대, 맹종죽(孟宗竹) 분포면적은 22,998헥타르(ha)로,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의 0.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매스 총량은 462,352톤(ton)으로 추정되었다.

  대나무 자원의 분포 면적 범위는 0.5ha 미만의 대나무 숲이 11,808ha로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51.3%)을 차지했으며, 대부분 소면적(1ha 미만)의 분포 형태를 보였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대나무는 솜대(淡竹), 왕대, 맹종죽(孟宗竹), 죽종혼효(왕대+솜대 혼합)로, 분포범위는 죽종혼효(45.7%), 솜대(26.9%), 왕대(26.2%), 맹종죽(1.3%) 순이다.

  죽종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맹종죽이 24,158ton(83ton/ha), 왕대 213,912ton(35ton/ha), 솜대 224,282ton(36ton/ha)으로 추정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유병오 박사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방치된 대나무 자원의 산지화(山地化, 산으로 이동ㆍ확산되는 현상)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과 기후변화 대응 바이오매스 생산 및 탄소흡수원으로서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를 기초로 대나무 자원의 보전 및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의 중요성을 재평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자평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 대나무 자원의 보전 및 건강성 확보를 위하여 분포유형별 특성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맞춤형 관리기술을 단계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대나무자원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가 곤충 상점의 주인이라면?” 축산물품질평가원,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대국민 공모전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미래 자원으로서 곤충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대국민 공모전 ‘내가 만약 곤충 상점의 주인이라면?’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일상에서 곤충을 자연스럽게 접하는 기회를 통해 곤충에 대한 작은 호기심을 곤충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이해와 흥미로 확장하기 위해 진행된다. 공모전은 ‘그림’과 ‘글’ 두 부문으로 구성된다. 그림 부문은 상점의 대표 곤충 상품 모습을, 글 부문은 상상 속 곤충 상점의 이름과 홍보 문구를 제출하면 된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만의 아이디어와 시선으로 곤충산업의 가치를 탐색하고 표현할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공모전 안내 카드뉴스 등의 자료를 곤충산업 블로그 인색토리 등 누리소통망에 함께 올려 참여자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 축산물품질평가원 곤충 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insect_industry 시상은 9월 중 진행되며, 글과 그림 부문을 통합해 가장 우수한 작품에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과 함께 상금 80만 원이 수여된다. 또한, 그림과 글 부문에서 각 5작품씩 총 10작품을 선정해 축산물품질평가원장상을 수여하고 전체 참가작

식품

더보기
정식품 중앙연구소, KOLAS 우수시험기관 선정…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등 수상
오리지널 1등 두유 베지밀 및 그린비아를 생산·판매하는 ㈜정식품(대표 정연호)의 중앙연구소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주관 ‘2025 세계 인정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인정기구(KOLAS) 우수시험기관으로 선정됐다.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엘리에나호텔에서 열린 이번 기념식에서 정식품 중앙연구소는 단체 부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과 개인 부문 기술표준원장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한국인정기구(KOLAS)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산하의 인정기구로 관련 법령 및 국제표준화기구(ISO/IEC)의 기준에 따라 시험기관의 조직, 자원, 프로세스, 품질시스템 등을 평가하고 공신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정식품 중앙연구소는 지난 2003년 한국인정기구로부터 식품 및 미생물 시험에 대해 인정을 받은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국내 식품업계 품질 분석을 선도하고 있다. 올해는 신뢰성 높은 시험 분석 역량을 통해 식품 안전성과 품질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개인 부문 수상자는 최재권 수석연구원이다. 정식품 중앙연구소의 이번 성과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는 정연호 정식품 대표의 경영 방침과도 맞

산림

더보기
일본잎갈나무 분자표지 개발, DNA 정보로 우수 품종 관리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일본잎갈나무 유전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핵 유전체 정보 분석을 통한 개체식별 분자표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본이 원산지인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겉씨식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입수종이다. 생장 속도가 빠르고 곧게 자라는 특성으로 인해 건축자재로 활용되고 있다. 일본잎갈나무를 개량하기 위해서는 조림지 등 일정 구역의 산림에서 외형적으로 우수한 형질을 지닌 나무(수형목)를 선발한 뒤, 그 자손을 시험림에 조성하고 유전적 우수성을 검증해야 한다. 따라서 어미나무(가계)의 정확한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가계 이력 관리를 위해 일본잎갈나무 핵 유전체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형질의 나무를 식별할 수 있는 총 6종의 분자표지를 개발했으며, 최근 특허등록을 마쳤다. 이번에 개발된 분자표지를 이용하면 채종원에서 생산된 종자와 개체목의 가계를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유전자원과 육종집단 관리, 종자 및 목재 유통 관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채종원 : 유전적으로 우수한 나무들의 집단으로써 열등한 유전인자를 지닌 외부 화분오염을 방지하고, 보다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