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휴양림

우리나라 대나무 종류별 자원량, 국내 최초 발표!

- 국내 대나무 자원 총 24천ha로 여의도면적 83배 분포 확인 -
- 공간정보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자원활용 기반 마련 -

대나무죽종분포도
죽종혼효(왕대+솜대)


솜대림

왕대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83배에 달하는 24,111헥타르(ha)라고 밝혔다.

  이번 분석 결과는 국립산림과학원이 대나무의 자원화를 위해 산림청 산림자원과의 협력 지원 아래 국내 최초로 주요 대나무 종류의 생육공간범위를 추출하고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추정한 것이다. 

  아울러 세계 최초로 대나무 측정단위를 표준화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중량)을 산출ㆍ평가, 분포 특성에 따른 대나무 자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산림경영단위(0.5ha)의 공간정보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70년대까지 활성화되었던 대나무 산업은 80년대 초부터 대량생산된 공산품들이 대나무 제품을 대체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이와 함께 대나무 자원들도 방치되어왔다.

  이번 연구결과로 대나무의 지역별, 산림생산력지수별, 분포유형 구분 등 다양한 생육특성별 자원량(면적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의 수치화가 가능해져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대나무 자원의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 24,111ha 중 산죽(조릿대) 등 기타 죽종을 제외한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은 솜대(淡竹), 왕대, 맹종죽(孟宗竹) 분포면적은 22,998헥타르(ha)로,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의 0.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매스 총량은 462,352톤(ton)으로 추정되었다.

  대나무 자원의 분포 면적 범위는 0.5ha 미만의 대나무 숲이 11,808ha로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51.3%)을 차지했으며, 대부분 소면적(1ha 미만)의 분포 형태를 보였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대나무는 솜대(淡竹), 왕대, 맹종죽(孟宗竹), 죽종혼효(왕대+솜대 혼합)로, 분포범위는 죽종혼효(45.7%), 솜대(26.9%), 왕대(26.2%), 맹종죽(1.3%) 순이다.

  죽종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맹종죽이 24,158ton(83ton/ha), 왕대 213,912ton(35ton/ha), 솜대 224,282ton(36ton/ha)으로 추정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유병오 박사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방치된 대나무 자원의 산지화(山地化, 산으로 이동ㆍ확산되는 현상)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과 기후변화 대응 바이오매스 생산 및 탄소흡수원으로서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를 기초로 대나무 자원의 보전 및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의 중요성을 재평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자평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 대나무 자원의 보전 및 건강성 확보를 위하여 분포유형별 특성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맞춤형 관리기술을 단계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대나무자원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재배 쉽고 수확량 많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느티만가닥버섯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을 한층 높인 하얀색 품종 ‘백마루24’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느티만가닥버섯은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고 조리 활용도*가 높아 성장 잠재력이 큰 품목이다. 하지만, 갈색 품종에서 분리된 하얀색 품종(변이종)은 재배 안정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까다로워 생산에 차질을 빚어왔다. * 느티만가닥버섯은 팽이버섯보다 머리가 크고 대가 굵어서 오독오독 씹는 맛이 좋음. 찌개, 볶음, 구이용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일본에서는 매우 대중적인 버섯임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2021년 개발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를 기반으로, 수량성과 균일성을 한층 강화한 ‘백마루24’를 새롭게 육성했다. ‘백마루24’는 흰색을 뜻하는 ‘백(白)’과 하늘의 순우리말 ‘마루’를 합친 기존 이름에, ‘개발 연도(2024년)’와 ‘24시 편의점’처럼 언제나 고르게 생산되는 모습을 형상화해 붙인 이름이다. 버섯 재배 속도가 고르고, 수확할 때 크기와 모양 편차가 적어 상품성이 높다. 특히, 균사 활력이 뛰어나 기존 상용 품종(80∼90일)보다 약 10일 빠른 70일 만에 버섯을 배양해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