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쇠고기, 돼지고기 가격 들썩 -‘17. 2.11자 경향신문, 한국일보, 서울신문, 매일경제 등-

언론 보도요지

 구제역 확산으로 축산물 수급불안이 커지면서 쇠고기,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고 있음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소고기‧돼지고기 수급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음
 (공급량) 2.12일 기준, 살처분 마릿수는 1,196마리, 전체 사육 대비 0.02~0.1%에 불과하고 출하도 발생지역 우제류만 타지역 반출을 제한하고 있어 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으며, 
   - 경기, 충북, 전북만 도축을 도내로 제한하고, 비발생 시・도는 도축을 위해 타 시・도 반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축량 감소는 크지 않음

구 분

한우

육우

젖소

합 계

살처분(A, 마리)

739

29

428

1,196

전체(B, 천마리)

2,730

152

418

3,300

비율(A/B, %)

0.02

0.02

0.1

0.03


 (가격) 구제역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소폭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미한 변동은 없음
   < 구제역 발생 전후 한우・돼지고기 도매 및 소매가격 현황 >
(단위 : 도매 원/kg, 소매 원/100g)

구 분

2.1

2.2

2.3

2.6

2.7

2.8

2.9

2.10

한우

 

도매

16,111

16,989

17,326

17,277

17,200

17,042

16,460

16,318

소매*

4,477

4,387

4,385

4,490

4,460

4,440

4,590

4,612

돼지

도매

4,452

4,396

4,397

4,517

4,502

4,804

4,638

4,514

소매*

1,972

1,972

1,970

1,973

1,973

1,971

1,774

1,784

* 한우 소매가격 : 1등급 불고기, 돼지 소매가격 : 냉장 삼겹살

  AI는 발생 농장과 500m이내 가금류를 모두 살처분 하기 때문에 급격한 사육두수 감소가 발생했으나, 구제역은 감염축과 농장만 선별적으로 살처분하기 때문에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음
  * 돼지의 경우 ‘11년 이후 예방백신 정책을 실시한 이후 3차례에 걸쳐 구제역이 발생하였으나, 직접적 가격 상승이나 공급부족 문제는 없었음

    <최근 5년간 구제역 발생과 돼지 도축두수 변화>

연 도

2012

2013

2014

2015

2016

도축 두수

14,040

16,104

15,589

15,895

16,524

구제역 발생

비발생

비발생

7.238.6

‘14.12.3’15.4.28

1.113.29

살처분두수

-

-

2,009

172,721

33,073


 향후 지나친 소비심리 위축 방지를 위한 홍보와 함께 부당한 가격 인상이 있는 경우 불공정행위 감시 강화를 통해 대응

 축산자조금을 활용하여 할인행사 등 소비촉진 추진

 축산물 안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으로 인체 유해성 등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여 과도한 소비 감소 방지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경국대학교, 경북대학교,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기준 설명회 개최 … 축산데이터 활용 활성화 계기 마련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2일, 세종시 본원에서 장비 및 설루션 업체를 대상으로 축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등록·연계 기준 및 데이터 활용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 축사 센서 및 사양관리 기기 기준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 △장비 인터페이스 기준 개정 내용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추진 방향 설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플랫폼 내 데이터 광장·데이터랩 등 활용법을 시연해 업체의 이해를 높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속적인 장비 보급 독려를 통해 축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축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비를 통해 확보되는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농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번 설명회가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장비 개발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스마트농업지원센터(

식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