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한우

2016년 한우 거세 출하월령 0.4개월 단축, 도체중 6.9kg 증가

- 축평원 소 85만 9천 두, 돼지 1,652만 4천 두 등급판정 -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 이하 축평원)은 2016년도에 소 85만 9천 두, 돼지 1,652만 4천 두, 닭고기 1억 1,286만 6천 수, 계란 11억 8,031만 7천 개, 오리고기 2,177만 천 수를 등급판정했다고 발표했다. 

 축평원에 따르면, 2016년 소 판정두수는 85만 9,472두로 전년 100만 7,001두 대비 14만 7,529두(1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 판정두수: ('13) 1,069 → ('14) 1,042 → ('15) 1,007 → ('16) 859천 두

 반면, 그 외 축종들의 판정물량은 모두 증가해 돼지는 1,652만 4,269두로 전년(1,588만 4,114두)과 비교해 64만 155두(4.0%)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 돼지 판정두수: ('13) 16,108 → ('14) 15,662 → ('15) 15,884 → ('16) 16,524천 두

 닭고기는 1억 1,286만 6,316수로 전년 대비 14.5% 증가했다.

   * 닭고기 판정수수:  ('13) 77,766 → ('14) 87,052 → ('15) 98,547 → ('16) 112,866천 수

 오리고기는 2,177만 1,152수로 전년 대비 91.3% 증가했다.

   * 오리고기 판정수수: ('13) 6,116 → ('14) 6,634 → ('15) 11,380 → ('16) 21,771천 수

 계란은 11억 8,031만 7,083개로 전년 대비 10.6% 증가했다.

   * 계란 판정개수: ('13) 858,048 → ('14) 927,874 → ('15) 1,067,219 → ('16) 1,180,317천 개

 소 등급판정은 품종별로 한우가 73만 7,476두로 전년(88만 3,593두) 대비 16.5% 감소하였으며, 육우는 6만 4,354두로 전년(5만 6,923두) 대비 13.0% 증가, 젖소는 5만 7,642두로 전년(6만 6,485두) 대비 13.3% 감소했다.

 한우 판정두수는 암컷 35만 3,880두(48.0%), 수컷 2만 264두(2.7%), 거세 36만 3,332두(49.3%)로 분석됐다.

   * 한우점유율: ('13) 89.7 → ('14) 88.4 → ('15) 87.7 → ('16) 85.8%
   **한우 암컷 비율: ('13) 53.2 → ('14) 48.7 → ('15) 46.8 → ('16) 48.0%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은 23만 1천 톤으로 전년 대비 13.5% 감소했으며, 한우고기는 20만 톤으로 15.5% 감소했다.

   *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 : ('13) 272.3 → ('14) 272.8 → ('15) 267.2 → ('16) 231.0천 톤
   ** 한우고기 생산량: ('13) 244.9 → ('14) 242.6 → ('15) 237.4 → ('16) 200.5천 톤

 한우 평균 도체중량은 393.5kg으로 전년 대비 5.7kg 증가했으며, 등지방두께는 13.5㎜로 0.5㎜, 등심단면적은 87.2㎠로 0.6㎠ 증가했다.
   * 도체중 추이: ('13) 382.9  → ('14) 378.8 → ('15) 387.8 → ('16) 393.5kg
 한우 거세 평균 도체중량은 436.6kg으로 전년 대비 6.9kg 증가했으며, 등지방두께는 13.8㎜로 0.3㎜, 등심단면적은 91.8㎠로 0.6㎠가 증가했다.

 한우 거세 평균 출하월령은 31.2개월로 전년 대비 0.4개월 단축됐다.

   * 도체중 추이: ('13) 422.4 → ('14) 424.7 → ('15) 429.7 → ('16) 436.6kg
   ** 출하월령 추이: ('13) 31.5 → ('14) 31.7 → ('15) 31.6 → ('16) 31.2개월

 한우도체의 kg당 평균 경락가격은 18,116원으로 전년 대비 1,832원 상승했으며, 한우 거세 도체의 경우 kg당 18,941원으로 2,086원 상승했다.

   * 한우 경락가격: ('13) 12,814 → ('14) 14,283 → ('15) 16,284 → ('16) 18,116원/kg
   ** 한우거세 경락가격: ('13) 13,973 → ('14) 14,985 → ('15) 16,855 → ('16) 18,941원/kg

 국내산 돼지고기 생산량은 98만 6천 톤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 국내산 돼지고기 생산량: ('13) 953.6 → ('14) 931.5 → ('15) 945.5 → ('16) 986.4천 톤

 돼지 탕박 평균 도체중량은 88.0kg으로 전년 대비 0.3kg 증가, 등지방두께는 21.6㎜로 0.1㎜ 감소했다.

   * 도체중 추이: ('13) 87.8  → ('14) 87.7 → ('15) 87.7 → ('16) 88.0kg
   ** 등지방두께 추이: ('13) 21.4  → ('14) 21.6 → ('15) 21.7 → ('16) 21.6㎜

 돼지 탕박 도체의 kg당 평균 경락가격은 4,600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339원 하락했다.

   * 돼지 경락가격: ('13) 3,868 → ('14) 4,741 → ('15) 4,939 → ('16) 4,600원/kg

 축평원 백종호 원장은 “축산물 유통시장의 안정화를 위한 정책 기반 마련에 축산물 등급판정 및 이력, 유통 등 축평원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와 같은 내용을 정리하여 ‘2016년도 축산물등급판정 통계연보’를 제작하고 2월말 정부, 통계청, 관련 기관 및 도서관 등에 배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aT, 전북 남원 준고랭지서 여름배추 시범재배 현장 점검 나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25일 전라북도 남원에서 기후변화 대응 신품종 육성, 재배적지 발굴과 수매, 제조, 유통을 위해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하 ‘원예원’)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여름배추 시범재배 포전을 점검했다. 최근 폭염 등 이상기후로 강원 고랭지의 재배면적이 감소하며, 배추값이 한 포기 7천 원대까지 오르는 등 수급 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aT는 지난 2월 선제적으로 원예원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며, 시범재배로 확보된 물량을 정부 수매로 시장과 연결하고 김치 제조·유통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해 배추 수급 안정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날 점검한 남원시 여름배추 포전은 지리산 자락 해발 470m 준고랭지에 위치해 있으며, 신품종 ‘하라듀’*와 ‘태광’ 품종을 정식해 재배하고 있다. 그동안 여름배추 주산지는 강원 고랭지였으나, 이번 사업을 통해 전북 산간 지역에서도 재배 가능성이 확인되어 향후 새로운 재배지로 자리매김할 경우 수급 불안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에서 ‘23.5월 출원, 내서성이 강화되어 여름에 결구력이 우수한 여름배추 신품종 현장을 둘러본 홍문표 aT 사장은 “남원 시범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올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맛있는 김치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제14회 대한민국 김치품평회(이하 김치품평회)에서 ㈜새벽팜의 ‘참매실 새벽 알타리김치’ 등 9개 김치 제품을 올해 수상제품으로 선정ㆍ발표하였다. 김치의 품질 향상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로 14회째 개최되는 김치품평회는 매년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 이하 에이티(aT))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세계김치연구소가 주관하여 우수한 국산 김치를 선발해 오고 있다. 수상 제품은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가 심사위원이 되어 실시하는 관능평가, 생산시설의 위생사항을 점검하는 현장평가 등을 거쳐 선정되었다. 김치품평회는 단순히 맛있는 김치를 선정하는 차원을 넘어 국산 김치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우수한 김치의 세계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품평회 대상은 전남 장성군 소재 ㈜새벽팜의 ‘참매실 새벽 알타리김치’가 차지하였다. ‘참매실 새벽 알타리김치’는 찹쌀풀과 찹쌀밥을 사용해 감칠맛과 농도를 조절하고 전통옹기에 저온 숙성한 매실청을 사용하여 깊은 맛을 구현한 점이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우수상에는 주안에프앤비의 ‘포기김치(주안이네김치)’가, 우수상(3점)은 ▲빛고을김치영농조합법인의 ‘빛고

산림

더보기
기후위기 속 미래 숲, 초지능 기술로 조림 전략 모색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25일(월), 산림자원 조성 분야의 현안을 진단하고 연구 혁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조림의 미래 역할과 초지능 기술 혁신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 토론회에는 국내 조림학 분야의 교수와 연구자 등 130여 명이 참석해 산림자원 조성 분야의 과제를 공유하고, 첨단 기술을 활용한 조림 기술 개발 방안을 논의했다. 발표는 ▲우리나라 산림 현황과 조림의 역할 ▲조림 현장의 주요 문제와 해결 방안 ▲국내외 스마트 조림 기술 및 연구 AX(AI Transformation) 전략 ▲빅데이터 기반의 조림 연구 사례로 구성됐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기후위기와 산림재난으로 인한 숲의 환경변화를 전망하고, 혼합림과 다층림 조성 등의 대응 전략이 논의됐다. 또한 위성·드론 영상 기반 모니터링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나무 생장 예측 등 기술 융복합 방법이 제시됐다. 참석자들은 기술과 정책의 연계가 기후위기에 강한 숲을 조성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김용관 원장은 “조림은 미래 숲의 모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학계와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 숲 조성을 위한 연구와 기술 개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