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생체모사를 이용한 인공 간 생산기술 개발 성공

- 농촌진흥청, 인공장기 실용화에 한걸음 나아가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돼지 간을 이용해 인간의 장기와 구조·기능적으로 비슷하면서 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이종이식1)용 인공 간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간 관련 질병은 다른 질환에 비해 사망률이 높다. 특히, 간암 등 난치성 간질환의 치료법은 장기 이식이 있지만 이식 가능한 공여 장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는 우장춘프로젝트사업2)의 하나로 서울대(강경선 교수)·강원대와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결과는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Tissue Engineering Part A'(mrnIF 86.74)와 'Acta Biomaterialia'(mrnIF 89.69)에 발표했다.

  ※ 논문명 : Decelluarized liver extracellular matrix as promising tools for transplantable bioengineered liver promotes hepatic lineage commitment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 논문명 : Heparin-gelatin mixture improves vascular reconstruction efficiency and hepatic function in bioengineered livers.

인간의 장기를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장기 연구는 면역유전자를 조절한 바이오장기용 형질전환 가축 개발,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인체장기를 모사하는 생체모사(biomimetics) 기술 등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 연구진이 생체모사 기술을 이용해 인공 간을 생산하는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

연구팀은 돼지 간을 이용해 이종이식 이종이식용 인공 간을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이종이식 시 면역거부 반응의 원인물질(이종항원)인 이식항원을 없앤 돼지 간 유래의 스캐폴드3)를 제작했다.

또한 탈세포4) 스캐폴드의 혈관구조 내에 항응고(헤파린/젤라틴 코팅하는 기법) 처리 뒤 재세포화5)해 생체에 이식했을 때 혈액이 응고(혈전형성)되는 시간과 혈액흐름이 개선됨을 확인했다.

이는 혈액응고에 관련된 인자들(THBS1, THBXAS, PLSCR1)의 기능(발현)은 낮아지고 간세포 유전자(ALB, CYP2E1, GPX1, HMGCR, LDLR, CDH1)의 기능(발현)이 높아짐에 따라 개선된 결과로 인공 간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것에 그 의미가 크다.

또한, 탈세포 스캐폴드 유래물질이 줄기세포를 간세포로 분화시키는 효율을 높이면서 간 기능을 증진함을 확인했다.

돼지 피부세포로부터 돼지 유도만능 줄기세포6)를 생산했고, 탈세포 스캐폴드 유래물질이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간 분화효율을 높이는 것을 확인했으며 재세포화된 스캐폴드의 간 기능도 향상됨을 확인했다.

앞으로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이식환자의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간 분화세포로 스캐폴드를 재세포화 함으로서 환자에게 특화된 맞춤형 인공 간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조남준 연구운영과장은 “인공장기 개발과 실용화까지는 극복해야 할 기술적 한계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꾸준한 투자와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이종간 면역거부 반응 해결을 위한 국내의 기초 기술력 확보에 큰 의미가 있는 성과로 앞으로 추가적인 성과가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

_______________

1) 이종이식 : 다른 종간의 장기 이식 (예 : 사람-돼지)
2) 우장춘프로젝트 : 농촌진흥청이 세계 최고수준의 과학자 양성과 농업 및 농촌발전의 새로운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미래원천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2010년~2019년)으로 연간 약 50억원 규모로 10년간 지원한다.
3) 스캐폴드 : 장기에서 세포를 제거(탈세포)하고 남는 장기의 껍데기(장기 외형을 보존하면서 흰색으로 나타남)4) 탈세포화 : 면역거부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을 갖는 세포를 제거함
5) 재세포화 : 탈세포된 스캐폴드에 원하는 세포를 주입하여 다시 세포가 들어있는 장기를 만듦
6) 유도만능 줄기세포 : 이미 분화된 체세포로부터 만들어진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줄기세포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경국대학교, 경북대학교,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기준 설명회 개최 … 축산데이터 활용 활성화 계기 마련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2일, 세종시 본원에서 장비 및 설루션 업체를 대상으로 축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등록·연계 기준 및 데이터 활용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 축사 센서 및 사양관리 기기 기준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 △장비 인터페이스 기준 개정 내용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추진 방향 설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플랫폼 내 데이터 광장·데이터랩 등 활용법을 시연해 업체의 이해를 높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속적인 장비 보급 독려를 통해 축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축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비를 통해 확보되는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농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번 설명회가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장비 개발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스마트농업지원센터(

식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