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작년에 전국의 바닷가와 해양에서 전년 대비 2.5% 증가(1,711톤 ↑)한 70,840톤의 쓰레기를 수거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해양수산부, 지자체, 해양환경관리공단 등이 공동으로 수거한 내역을 해양쓰레기 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해 집계한 결과이다.
형태별로는 해안쓰레기가 37,538톤(54%)으로 가장 많았고, 수중 침적쓰레기 24,146톤(33.4%), 부유쓰레기 4,697톤(6.5%), 재해쓰레기 4,459톤(6.2%)순이었다. 해안쓰레기는 2014년 50,202톤의 수거량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재해쓰레기의 경우 지난해 10월 발생한 태풍 ‘차바(Chaba)’의 영향으로 전년도 물량(1,906톤)에 비해 2천5백 톤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쓰레기 종류는 스티로폼 등 플라스틱류(71%), 나무(5%), 금속류(4%) 순으로 많았고 시기별로는 여름 휴가철인 7∼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기인 쓰레기는 전체 쓰레기의 약 5%(개수 기준) 이었으며 이 중 중국 기인 쓰레기가 96%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번에 수거된 해양쓰레기 중 14%(10,146톤)는 해양수산부에서, 86%(60,694톤)는 지자체가 수거하였으며, 지자체 가운데서는 전남(21,589톤, 32%), 경남(10,072톤, 14%), 충남(9,379톤, 13%) 순으로 많이 수거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쓰레기 수거에 적극 참여한 지자체를 오션 크린업(Ocean Clean-up) 우수기관으로 선정하는 등 지자체를 독려하여 해양쓰레기 수거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쓰레기의 적극적인 수거와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지리정보체계(GIS)에 기반한 전국 해안쓰레기 오염지도 작성, 어업용 폐스티로폼 관리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해양쓰레기 줄이기 대국민 홍보 및 어업인 교육도 병행하여 전 지구적 환경현안이 되고 있는 해양쓰레기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김태기 해양보전과장은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데는 육상 쓰레기를 수거할 때에 비해 5.7배 이상의 비용이 들어가므로, 쓰레기 수거 활동 뿐 아니라 해양에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미리 막기 위한 예방활동에도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통계와 관련된 더 자세한 사항은 해양환경관리공단의 해양쓰레기 대응센터(MALi : Marine Litter Management Center)가 운영하는 ‘해양쓰레기 통합정보시스템(https://www.mali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가별 및 종류별 분석(’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