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6.5℃
  • 흐림강릉 5.9℃
  • 구름많음서울 6.4℃
  • 구름많음대전 7.7℃
  • 맑음대구 9.6℃
  • 구름많음울산 7.7℃
  • 맑음광주 7.9℃
  • 구름조금부산 10.6℃
  • 맑음고창 5.4℃
  • 구름많음제주 7.8℃
  • 구름많음강화 3.4℃
  • 구름많음보은 6.0℃
  • 구름많음금산 6.3℃
  • 맑음강진군 7.6℃
  • 구름많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수부, 업계와 협력하여 친환경 어구 보급 늘린다

- 9일 부산서 어구 생산업체·연구기관·정부 관계자 간담회 개최 -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어업현장에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를 널리 보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9일(목) 부산 KTX역 회의실에서 ‘2017년 생분해성 어구 품질관리 간담회’를 개최한다.
 
  *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등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로 제작한 어구로서, 바다 속에 2년 이상 머물 경우 수중 미생물에 의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 분해
 
  이날 간담회에는 어구생산업체 대표와 연구기관(국립수산과학원), 수협중앙회 등 관계자가 참석하여 친환경 생분해성어구 개발 현황을 발표하고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어구를 사용하는 어업인들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현재 제작 중인 ‘생분해성 어구 보관 표준매뉴얼(안)’의 내용을 검토하고,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도 논의한다.
 
  해양수산부는 썩지 않고 바다에 떠도는 나일론 어구에 물고기가 걸려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서 2년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 개발을 추진하여 2007년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하였다. 현재까지 22종의 어구를 개발하여 작년에는 8개 업종의 어선 460여 척에 보급하였으며, 올해는 꽃게자망어업 등 9개 업종 500여척의 어선에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유령어업 피해액은 연간 3,800억 원으로 추산되어 연간 어획고의 10%에 달함 
 
  해양수산부는 2007년부터 현재까지 총 487억원(국비 341, 지방비 146)을 투입하여 기존 어구를 친환경 어구로 대체하는 어가에 차액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어업인들도 최근 연근해 자원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의 친환경 어구 보급사업에 적극 협력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최근 특히 어획량 감소폭이 컸던* 꽃게 자망어업에 대한 보급사업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 2016년 연근해 꽃게 어획량은 12,496톤으로 2015년(16,373톤) 대비 24% 감소하였음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는 미생물(박테리아, 곰팡이 등)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소재로 만들어지므로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 등 미생물이 번식하기 어려운 곳에 보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생분해성 어구 보급 확대에 대비하여 해양수산부는 ‘생분해성 그물 보관 매뉴얼’을 작성하여 올해 3월부터 어업인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또한 작년에 수산업 선진국인 노르웨이에 1만8천 유로(약 2,500만 원) 상당의  국산 생분해성 어구를 최초 수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분해성 어구 수출 확대를 추진한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나일론 어구는 대부분 중국산이므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어구들을 국산 생분해성 어구로 대체할 경우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4천여 척의 꽃게잡이 어선에 쓰이는 나일론 그물을 국산 생분해성 어구로 교체할 경우 연간 최대 485억원의 수입대체 효과 발생 
  박신철 해수부 어업정책과장은 “현재 많이 사용되는 나일론 어구를 친환경 어구로 교체해나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민·관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라면서, “이번 간담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친환경 어구를 현장에 더욱 널리 보급하고 어업인들이 편리하게 활용하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연구현장 탐방프로그램’ 이달 26일부터 시범운영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이달 26일부터 매월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기해 ‘연구현장 탐방프로그램’을 올 한 해 총 10회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정원은 매회 선착순 40명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관람객은 농업과학관과 국립농업과학원 곤충박물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보관 등을 순환버스로 이동하며, 전시품 관람과 시식, 체험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출발지인 농업과학관에서는 농업의 과거·현재·미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현대농업관, 미래농업관 등 상설 전시관을 둘러본다. 또한, 육종의 변천사 등을 주제로 마련된 특별전시를 관람하고,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접목 선인장 심기 체험과 가루쌀빵 시식도 준비했다. 국립농업과학원 곤충박물관에서는 곤충관, 양잠관, 꿀벌관을 차례로 돌며 설명과 함께 전시물을 관람한다. 누에 명주실 뽑기 등의 체험활동도 마련돼 있다. 종착지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보관에서는 우장춘 박사 일대기와 주요 업적 등에 대해 듣고, 홍보관 등도 방문한다. 연구 현장 탐방프로그램 신청은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 ‘청사 개방 안내→연구 현장 탐방 신청’에서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농촌진흥청 연구관리과(063-238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국립자연휴양림에서 뭐 하고 놀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3월부터 전국 국립자연휴양림에서 2025년 산림교육문화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산림교육문화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에 배치된 산림복지전문가(숲해설가 122명, 유아숲지도사 10명, 산림치유지도사 15명)가 진행하며, 휴양림별 특색있는 시설과 산림자원을 활용해 연말까지 운영된다. 특히, 유아숲지도사가 배치된 휴양림(유명산, 용현, 상당산성, 방장산, 낙안민속)에서는 유아 보육·교육기관과 연계해 정기적으로 숲 교육을 진행하고, 산림치유지도사가 있는 휴양림(유명산, 산음, 대관령, 남해편백, 청태산)은 산림의 치유 인자를 활용해 임산부, 스트레스 직군 종사자 등 대상별 맞춤형 치유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산림복합체험센터가 있는 휴양림(유명산, 용화산, 남해편백, 청태산, 칠보산, 대관령, 희리산해송)에는 역동적인 실내 체험시설과 가상 현실(VR) 시설 등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다. 한편,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시·청각 장애인도 숲 해설을 체험할 수 있도록 유명산자연휴양림과 무의도자연휴양림에 수어 및 점자 숲 해설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다른 국립자연휴양림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국립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