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4 (화)

  • 구름많음동두천 -0.4℃
  • 흐림강릉 1.4℃
  • 흐림서울 1.3℃
  • 흐림대전 3.0℃
  • 비 또는 눈대구 2.5℃
  • 울산 3.0℃
  • 광주 3.8℃
  • 부산 3.8℃
  • 흐림고창 2.8℃
  • 제주 7.4℃
  • 흐림강화 0.3℃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2.7℃
  • 흐림강진군 4.7℃
  • 흐림경주시 3.3℃
  • 흐림거제 4.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수부, 2종 항만배후단지 본격적인 투자유치 나선다.

- 항만별 개발구상(안) 제시, 관련제도 정비 등 민간참여 부담 완화 -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종 항만배후단지의 적기 공급을 위해 항만별 맞춤형 개발구상(안) 제시 및 관련 지원제도의 단계적 정비 등 민간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 활성화 계획을 마련하였다.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위해 2013년 12월 “제2차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였으나, 항만별 입지여건 등을 고려한 구체적인 개발계획 등이 마련되지 않아 민간투자 유치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민간투자자의 사업 참여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 방향을 보완하여 계획을 수립하였다. 


※ 항만배후단지 : 분업화 추세에 따라 항만을 단순물류거점에서 조립·가공·제조가 가미된 복합물류거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도입된 공간으로써 1종과 2종으로 구분
   - (1종) 화물의 조립・가공・제조시설 및 물류기업 입주
   - (2종) 업무・상업・주거시설 등 항만배후단지 기능보강 시설 입주


  이번 계획의 주요 내용은 항만별 입지특성, 사업성 분석 등을 통해 실수요자 수요를 반영한 항만별(부산항 신항, 평택·당진항, 인천항) 맞춤형 개발구상(안)을 제시하여 민간투자자의 사업성 검토가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부산항 신항(웅동 2단계, 남‘컨’)을 국제 물류산업 중심지로 조성하기 위해 주변 입지 여건 및 개발계획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항만기능 관련 시설(물류산업+도시공간+해양관광)을 입주시킬 계획이다.

  평택·당진항(동측 내항투기장, 서측 국제여객부두)에는 물류, 자동차 산업, 국제여객 지원 등을 결합한 특화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능 시설(자동차 산업집적지+도시공간+관광·레저)을 유치할 계획이다

  인천항(남항 2단계)에는 국제여객터미널 지원과 1종 배후단지 기능 지원 및 이용자의 업무편익 제고를 위한 도시서비스(의료·관광·상업 지원+연구·지원) 제공이 가능한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아울러, 사업 준공시점의 토지가액 및 상부시설의 분양여부가 불확실하여 민간 투자자의 사업 참여에 장애 요인이 되어 온 점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지원제도를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실수요자 개발방식을 도입하여 상부시설 분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업계획서 평가항목에 ‘실수요자 참여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사업 준공 시점의 토지가액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에 대비하여 잔여부지 우선 매수시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속도감 있는 사업추진을 위해 사업자 모집방식을 다변화하고,   사업 시행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업무처리규정 마련,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의 지정기준 개선 등 사업의 추진 절차를 체계화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최명용 항만국장은 “앞으로 2종 항만배후단지에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우리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항만별(부산항 신항, 평택·당진항, 인천항) 맞춤형 개발구상(안)

(개발계획 구체화) 항만별 입지특성, 사업수익성 분석 등을 통해 실수요자 Needs를 반영한 항만별 맞춤형 개발구상(안) 마련
 (부산항 신항) 글로벌 물류 비즈니스 허브 조성을 위해 고부가가치 항만관련 기능시설(물류비즈니스+도시공간+해양관광) 도입

   - (웅동 2단계) 주거, 업무, 교육·연구, 상업, 문화관광, 숙박 등 업무기능을 중심으로 복합 지원시설 배치(B/C 1.34)

   ☞ 인접한 관광레저단지 계획을 고려, 민간투자 매력도 제고 및 토지이용 효율성 증대를 위해 평면배치계획 변경(안) 마련

  제2차 항만배후단지 개발종합계획(’13.12)                        금회 변경(안)
        

 ☞ 토지이용계획 및 도입 가능시설 예시(안)

* 도입시설(안) : 563천㎡(주거지원 172천㎡, 자족복합 178천㎡, 문화관광 182천㎡, 공공 31천㎡)
  - (남 ‘컨’) 상업, 업무, 교육·연구 등 항만 물류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복합 비즈니스단지 조성(B/C 1.22)

   ☞ 토지이용계획 및 도입 가능시설 예시(안)

* 도입시설(안) : 75천㎡(자족복합 55천㎡, 공공 20천㎡)

 ㅇ (평택‧당진항) 물류·자동차산업·국제여객 지원 등을 결합한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One-stop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능시설(자동차 클러스터+도시공간+관광·레저) 도입

   - (동측 내항투기장) 주변 배후도시의 개발계획과 조화로운 개발여건 구축으로 상생의 복합 배후단지(주거, 상업, 해양레저 등) 조성(B/C 1.31)

   ☞ 토지이용계획 및 도입 가능시설 예시(안)

 * 도입시설(안) : 1,736천㎡(주거지원 525천㎡, 자족복합 162천㎡, 문화관광 843천㎡, 공공 206천㎡)
   - (서측 국제여객부두) 자동차 클러스터 구축 및 한류관광 특화산업의 도입을 통한 종합적인 부가가치 창출공간(상업, 문화, 관광 등) 조성(B/C 1.38)

   ☞ 토지이용계획 및 도입 가능시설 예시(안)

* 도입시설(안) : 267천㎡(자족복합 31천㎡, 문화관광 236천㎡)

 ㅇ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지원과 1종 배후단지 기능 및 이용자의 업무편익 제고를 위한 도시서비스(의료·관광·상업 지원+연구·업무 지원) 도입

  - (남항 2단계) 주변 개발계획(국제여객터미널(Golden Harbor), 1종 항만배후단지)과 연계하여 의료관광‧업무편의기능 등이 융·복합된 지원단지 조성

   ☞ 토지이용계획 및 도입 가능시설 예시(안)

* 도입시설(안) : 329천㎡(의료관광 101천㎡, 교육연구 80천㎡, 업무 73천㎡, 상업 75㎡)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봄철 영농 시작, 토양검정 후 비료 사용 계획 세우기부터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농작물 파종, 아주심기(정식)에 대비해 ‘토양검정’을 받고 검정 결과에 따라 농경지 비료 사용 계획을 세울 것을 당부했다. 토양검정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비료 사용량을 계산하기 위해 토양 속 양분 함량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농경지가 속한 시군농업기술센터에 토양분석을 의뢰*하면 약 2주 후에 결과를 받을 수 있다. *한 필지 내 12~15개 지점의 토양(깊이 0~15cm)을 채취해 큰 용기에서 섞음. 잘 섞인 시료 1~2kg을 봉투에 담아, 시군농업기술센터 내 종합분석실에 접수 토양검정 후 작물별로 적정 비료 사용량을 안내하는 ‘작물별 비료사용처방서’도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발급한다. 작물별 비료사용처방서는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soil.rda.go.kr)에서 토양검정 결과와 함께 조회할 수 있다. 토양검정 결과에 따라 비료를 처방하면 농경지에 적정량의 농자재를 투입함으로써 토양 양분 집적 예방, 온실가스 발생 저감, 농가 경영비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료사용처방서에 제시된 작물별 비료 사용량을 재배 준비 단계부터 준수하면 공익직불제 이행점검에서 ‘적합’을 받을 수 있다. ‘부적합’을

축산

더보기
럼피스킨 2종 가축질병으로 관리 완화 등 관리방식 대폭 바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럼피스킨*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청정화 기반 구축을 위해 「럼피스킨 중장기 방역관리 개선 대책」을 마련하여 위험도 기반 예찰·방제, 백신접종 방식 전환, 질병 관리 수준 완화 등 제도개선이 포함된 세부 대책을 올해부터 추진한다. * 소(牛)에서만 감염되는 가축질병으로 2023년 10월 국내 소 사육 농장에서 첫 발생 이후 그해 107건이 발생하였고, 다음해인 2024년에는 24건 발생 첫째, 질병 전파 원인인 침파리, 모기 등 매개곤충에 대한 위험도 기반 방제와 예찰을 한층 강화한다. 기존 발생지역 및 위험도 평가 결과에 따른 고위험 시·군과 유입 가능성이 높은 서해안 소재 13개 항만 등에 대하여 전문방제업체를 통한 방제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매개곤충 예찰은 럼피스킨 발생이 많았던 4개도(경기․강원․충남․전북)*의 대상 농가를 확대하고, 국내 유입 경로에 있는 지역의 공중 포집기도 기존 15개소에서 18개소로 추가 설치하여 매개곤충 채집·분류·바이러스 검사 등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검출 시 그 결과를 즉시 농가에 제공하여 자체 방제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조기 경보 체계를 가동한다. * (‘2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