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4.9℃
  • 흐림강릉 4.9℃
  • 구름많음서울 4.8℃
  • 맑음대전 6.6℃
  • 맑음대구 7.4℃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7.4℃
  • 맑음고창 4.4℃
  • 구름많음제주 6.8℃
  • 구름많음강화 4.0℃
  • 맑음보은 4.6℃
  • 맑음금산 5.3℃
  • 맑음강진군 ℃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사과 밀식장해 예방하는 방법은?

- 사과 '홍로', '감홍' 나무의 중간 부위 곁가지는 잘라줘야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국산 사과 '홍로'와 '감홍' 품종의 밀식장해1)를 예방하기 위해 나무 중간 부위에 햇빛이 많이 들어올 수 있도록 가지치기를 할 것을 당부했다.

현재 대부분의 사과 과원은 예전보다 빽빽하게 나무를 심어 관리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 나무가 자라면 나뭇가지들이 서로 겹치면서 햇빛 투과가 안 돼 밀식 장해가 많이 발생된다.

햇빛 투과가 안 될 경우, 충실한 꽃눈 확보가 힘들고 그늘이 발생해 과일 색이 잘 들지 않아 품질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는 국내 육성 품종인 '홍로'와 '감홍'을 대상으로 밀식 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곁가지 관리방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 나무의 중간 부위의 곁가지를 자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높이 1.5m에서 2.5m 사이 나무 중간 부위의 곁가지를 나무 간 심는 거리의 20%~30% 정도로 자르는 것이 핵심으로 품종의 생장 특성에 따라 방법을 조금씩 변형하면 된다.



'홍로'는 세력이 강한 곁가지 발생이 많고 가지의 끝이 위쪽으로 일어서는 경향이 있어 가지 끝을 열매가지로 남기도록 한다.

'감홍'은 곁가지 발생이 많지 않으므로 곁가지를 유인해 열매가지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처럼 중간 부위를 제한하는 가지치기 시 나무 안쪽의 꽃눈분화율이 관행에 비해 23.4%p 높아져 꽃눈 확보에 유리했다.

또한 과일 껍질의 붉은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Hunter a 값)도 관행보다 더 좋아져 고품질 사과 생산이 가능했다.

'홍로'와 '감홍'은 사과의 국산화를 이끌어가고 있는 대표 품종이다.

9월 상중순에 수확하는 중생종 '홍로'는 추석 사과로 자리매김했다.

10월 상중순에 수확하는 '감홍'은 당도가 16브릭스에 달하는 달콤한 맛이 일품으로 맛좋은 사과로 손꼽힌다.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 이동용 농업연구사는 “'홍로'와 '감홍' 사과의 나무 중간 부위를 제한하는 겨울 가지치기는 햇빛 투과 개선 효과가 있어 밀식 장해 예방이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_______________
                       
1) 밀식장해 : 가지가 너무 강하게 자라면 옆나무의 가지와 맞닿아 햇볕을 받지 못해 꽃눈 분화가 불량해지는 것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연구현장 탐방프로그램’ 이달 26일부터 시범운영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이달 26일부터 매월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기해 ‘연구현장 탐방프로그램’을 올 한 해 총 10회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정원은 매회 선착순 40명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관람객은 농업과학관과 국립농업과학원 곤충박물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보관 등을 순환버스로 이동하며, 전시품 관람과 시식, 체험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출발지인 농업과학관에서는 농업의 과거·현재·미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현대농업관, 미래농업관 등 상설 전시관을 둘러본다. 또한, 육종의 변천사 등을 주제로 마련된 특별전시를 관람하고,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접목 선인장 심기 체험과 가루쌀빵 시식도 준비했다. 국립농업과학원 곤충박물관에서는 곤충관, 양잠관, 꿀벌관을 차례로 돌며 설명과 함께 전시물을 관람한다. 누에 명주실 뽑기 등의 체험활동도 마련돼 있다. 종착지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보관에서는 우장춘 박사 일대기와 주요 업적 등에 대해 듣고, 홍보관 등도 방문한다. 연구 현장 탐방프로그램 신청은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 ‘청사 개방 안내→연구 현장 탐방 신청’에서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농촌진흥청 연구관리과(063-238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국립자연휴양림에서 뭐 하고 놀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3월부터 전국 국립자연휴양림에서 2025년 산림교육문화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산림교육문화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에 배치된 산림복지전문가(숲해설가 122명, 유아숲지도사 10명, 산림치유지도사 15명)가 진행하며, 휴양림별 특색있는 시설과 산림자원을 활용해 연말까지 운영된다. 특히, 유아숲지도사가 배치된 휴양림(유명산, 용현, 상당산성, 방장산, 낙안민속)에서는 유아 보육·교육기관과 연계해 정기적으로 숲 교육을 진행하고, 산림치유지도사가 있는 휴양림(유명산, 산음, 대관령, 남해편백, 청태산)은 산림의 치유 인자를 활용해 임산부, 스트레스 직군 종사자 등 대상별 맞춤형 치유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산림복합체험센터가 있는 휴양림(유명산, 용화산, 남해편백, 청태산, 칠보산, 대관령, 희리산해송)에는 역동적인 실내 체험시설과 가상 현실(VR) 시설 등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다. 한편,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시·청각 장애인도 숲 해설을 체험할 수 있도록 유명산자연휴양림과 무의도자연휴양림에 수어 및 점자 숲 해설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다른 국립자연휴양림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국립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