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유전자교정(CRISPR/Cas9) 기술, 최상의 식품 미생물 만들기에 도전한다!

- 한국식품연구원, 최신 유전자교정 기술을 이용한 식품미생물의 유해유전자 제거 성공-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용곤) 장내미생물연구단 김효진 박사 연구팀은 유전자교정 기술인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하여 효모의 에틸카바메이트 생성 유전자를 제거함으로써 식품미생물의 유해물질 생성을 줄이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유전자가위로 알려진 CRISPR/Cas9 기술은 이용하고자하는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고 편집하는 기술로 사이언스(Science)지가 선정한 올해의 혁신기술이자 지난해 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10대 기술에 선정되기도 했다. 

 식품미생물의 유해성 유전자를 제어하기 위해 유전자 재조합 방법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경우 항생제 유전자의 유입과 같은 불필요한 유전체 변형을 야기하지만, 유전자교정 기술인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하는 본 연구는 유전체의 불필요한 변형 없이 오직 유해물질 관련 유전자의 결손만을 유도한다.

 본 연구팀은 효모의 유해물질 원인 유전자를 유전자교정 기술로 제거하여 유해물질의 감소가 탁월함을 확인하였으며,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International Microbiology & Biotechnology (SCI)에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효모의 유해물질인 에틸카바메이트 원인 유전자 CAR1을 유전자교정 기술로 제거하였고, 발효과정에서 모균주와 유전자교정 균주를 비교한 결과, 유전자 교정 균주의 CAR1 효소활성이 모균주에 비해 98% 감소하는 탁월함을 확인하였으며, CAR1에 의해 생성된 에틸카바메이트도 1/3 수준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현재 연구팀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교정균주의 유전체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결과에 대한 국제학술지 논문투고를 준비 중에 있다.

 김효진 박사(한국식품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유전자 교정 기술이 식품미생물의 균주개량에 획기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